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자운[紫雲] 자운은 당(唐)의 사도(司徒) 이원(李愿)의 집에 있던 명기(名妓). 두목(杜牧)은 어사(御史)가 되어 낙양 분사(洛陽分司)로 있었는데, 이원의 연회석에 명사(名士)로 초대되어 “자운이란 명기가 있단 말 들었는데 누구인가?”라고 물었다. 이원이 가르쳐주자, 그는 한참 동안 응시하고는 “과연 아름다우니 나에게 빌려달라.”고 하였다. <唐詩 紀事 杜牧>
❏ 자운[子雲] 자운은 한(漢) 나라 때의 문장가 양웅(揚雄)의 자인데, 양웅은 자식이 없어 그가 죽었을 적에 제자인 후파(侯芭)가 장사를 치르고 삼년상(三年喪)을 치렀다. 태현(太玄)·법언(法言)·방언(方言) 등의 저서(著書)가 있다. <漢書 卷八十七 揚雄傳>
❏ 자운식자종하보[子雲識字終何補] 한(漢)나라 양자운(揚子雲)이 학문이 깊고 기이한 글자[奇字]를 잘 알았는데도 벼슬은 궁정(宮庭)에서 창을 잡는[執戟] 낭관(郞官)에 지나지 못하였다.
❏ 자운적막[子雲寂寞] 한(漢) 나라 양자운(揚子雲; 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저술하며 숨어살면서 “적막(寂寞)으로 덕을 지킨다.”고 자칭하더니, 뒤에 역적(逆賊) 왕망(王莽)에게 벼슬하다가 죄에 걸려 체포를 당하게 되자 높은 누각에서 몸을 던져 떨어졌다. 사람들이 “적막(寂寞)은 투각(投閣)이로다.”라고 하였다.
❏ 자운정[子雲亭] 한(漢) 나라 때 서촉에 있었던 양웅(揚雄)의 독서(讀書)하던 곳을 이른다. 유우석(劉禹錫)의 누실명(陋室銘)에 “남양 제갈공명의 초려요, 서촉 양자운의 정자로다.[南陽諸葛廬 西蜀子雲亭]”라고 하였다.
❏ 자운조[子雲嘲] 자운은 한(漢) 나라 양웅(揚雄)의 자. 한 손[客]이 양웅더러 너무 청백만을 고수하다가는 녹위(祿位)를 얻을 수 없다고 조롱하므로 양웅이 글을 지어 이를 해명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하는 방법이 중요하다/한비자/설의/ (0) | 2020.09.03 |
---|---|
자의[赭衣]~자의소대[紫衣小隊]~자자[姊姊]~자자어비자[刺刺語婢子] (0) | 2020.09.03 |
자유[子游]~자유섬계[子猷剡溪]~자유홀[子猷笏]~자은제탑[慈恩題塔] (0) | 2020.09.03 |
자위[慈闈]~자위부은[自爲父隱]~자위소[慈闈笑]~자유[子游]~자유[子猷] (0) | 2020.09.03 |
자웅검[雌雄劍]~자웅리[雌雄離]~자웅미변[雌雄未辨]~자원용무휼[子元用武譎] (0) | 2020.09.03 |
자옥생[紫玉笙]~자옹[子雍]~자용전[紫茸氈]~자우[子羽] (0) | 2020.09.03 |
자염장[紫髥將]~자영[紫纓]~자예[自艾]~자예음[雌蜺飮]~자오반포[慈烏反哺] (0) | 2020.09.03 |
자여도[自如道]~자여씨[子與氏]~자여예리[子輿曳履]~자연[子淵] (0) | 2020.09.03 |
자암[紫巖]~자앙[子昂]~자야가[子夜歌]~자양벽파[紫陽劈破] (0) | 2020.09.03 |
자시[自市]~자신[雌辰]~자신지[子愼之]~자악묘석[子惡苗碩]~자안[字眼]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