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자암[紫巖] 남송(南宋) 초기 금(金) 나라에 항거한 대표적 인물인 장준(張浚)의 별호(別號)이다. 그가 역전(易傳)을 지으면서 그 호를 지어 사용하였는데, 그 뒤로 세상에서 그를 존경하여 자암선생(紫巖先生)으로 일컬었다. 고종(高宗) 소흥(紹興) 5년에 양회(兩淮) 제로(諸路)의 군마(軍馬)를 총동원하여 대대적으로 북벌(北伐)을 행한 기록이 있다. <宋史 卷361 張浚傳>
❏ 자앙[子昂] 자앙(子昂)은 당(唐) 나라 때 문장가인 진자앙(陳子昂)을 말하는데 일대 문호(文豪)로 유명했다.
❏ 자야[子夜] 악부 이름이자 이를 만든 진(晉) 나라 여자의 이름이다.
❏ 자야[子野] 춘추 시대 진(晉) 나라 악사(樂師)였던 사광(師曠)의 자. 그는 귀가 대단히 밝아 음률(音律)에 밝게 통했다 한다.
❏ 자야가[子夜歌] 진(晉) 시대 악곡 이름. 당서(唐書) 악지(樂志)에 “진 나라 여자 자야(子夜)가 이 곡을 지었는데 소리가 매우 애절하였다.”고 하였다.
❏ 자약야[自若也] ‘스스로 같습니다’ 예전의 자기와 같다. 전과 같다.
❏ 자양[紫陽] 송(宋) 나라의 거유(巨儒)인 주자(朱子)를 말한다.
❏ 자양벽파[紫陽劈破] 자양은 주희(朱熹)의 호인데, 벽파했다는 것은 곧 주희가 시경의 옛 훈고전들을 모두 합하여 취사선택을 가해서 집전(集傳)을 만들어 놓은 것을 가리킨 말이다.
❏ 자양옹[紫陽翁] 자양옹은 호가 자양인 주자(朱子)를 높여 이른 말인데, 주자는 일찍이 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를 지어 부르고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세웠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웅검[雌雄劍]~자웅리[雌雄離]~자웅미변[雌雄未辨]~자원용무휼[子元用武譎] (0) | 2020.09.03 |
---|---|
자운[紫雲]~자운적막[子雲寂寞]~자운정[子雲亭]~자운조[子雲嘲] (0) | 2020.09.03 |
자옥생[紫玉笙]~자옹[子雍]~자용전[紫茸氈]~자우[子羽] (0) | 2020.09.03 |
자염장[紫髥將]~자영[紫纓]~자예[自艾]~자예음[雌蜺飮]~자오반포[慈烏反哺] (0) | 2020.09.03 |
자여도[自如道]~자여씨[子與氏]~자여예리[子輿曳履]~자연[子淵] (0) | 2020.09.03 |
자시[自市]~자신[雌辰]~자신지[子愼之]~자악묘석[子惡苗碩]~자안[字眼] (0) | 2020.09.03 |
자송[自訟]~자수금장[紫綬金章]~자수추망[刺水抽芒]~자승자박[自繩自縛] (0) | 2020.09.03 |
자석[煮石]~자설[刺舌]~자성[子聲]~자성혜[自成蹊]~자소[紫綃] (0) | 2020.09.03 |
자서[字書]~자서[子胥]~자서검결[子胥劍決]~자서결안[子胥抉眼] (0) | 2020.09.03 |
자삼청철[紫蔘靑鐵]~자상[子桑]~자상과병[自象戈兵]~자새[紫塞]~자색[紫色]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