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임랑[琳琅] 미옥(美玉), 무당 허리에 찬 옥장식이다.
❏ 임령곡[霖鈴曲] 사랑하는 여인을 잃은 남자의 노래를 말한다. 당 현종(唐玄宗)이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피해 촉(蜀) 땅으로 가다가 총희(寵姬) 양 귀비(楊貴妃)를 잃고 난 뒤, 잔도(棧道)에서 빗소리에 섞여 들려오는 말방울 소리를 듣고는 양 귀비를 생각하며 ‘우림영곡(雨霖鈴曲)’을 지었다고 한다. <明皇雜錄補遺>
❏ 임로[任老] 소암(疎庵) 임숙영(任叔英)을 가리킨다.
❏ 임률공[林栗攻] 임율은 송 나라 복청(福淸) 사람으로 벼슬이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는데, 그는 주희(朱熹)가 주역(周易)을 논해 놓은 것이 불합리하다고 기록하였다. <宋史 卷三百九十四 林栗傳>
❏ 임리[臨履] 임심이박(臨深履薄)의 약칭으로 깊은 못가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 모든 일에 조심함을 말한다.<詩經 小雅 小旻>
❏ 임림[淋淋] 물이 뚝뚝 떨어지는 모양이다.
❏ 임방[林放] 예의 근본을 물은 사람이다. 춘추 시대 때 계씨(季氏)가 태산(泰山)에 여제(旅祭)를 지내자, 공자가 계씨의 가신(家臣)으로 있던 자신의 제자 염유(冉有)에게 그것을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염유가 바로잡지 못하겠다고 답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일찍이 태산의 신령이 예의 근본을 물은 임방만도 못하다더냐.”라고 하였다. <論語 八佾>
❏ 임방[任昉] 양(梁) 나라 때 태수(太守) 임방이 문장과 재주가 뛰어나고 성품이 고매하여 당시 이름난 사우(士友)들이 즐겨 따랐으며, 왕검(王儉)·심약(沈約) 같은 이들에게도 크게 추중(推重)되었다. <梁書 卷十四 任昉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제[臨濟]~임종절각건[林宗折角巾]~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 (0) | 2020.09.01 |
---|---|
임우[霖雨]~임원육실[臨沅六實]~임위궐[臨魏闕]~임전무퇴[臨戰無退] (0) | 2020.09.01 |
임약[荏弱]~임오구[林烏句]~임오시[林烏詩]~임오포[林烏哺] (0) | 2020.09.01 |
임성유[衽成帷]~임순[紝紃]~임심리박[臨深履薄]~임안[臨安] (0) | 2020.09.01 |
임방애객[任昉愛客]~임비[任鄙]~임사흥주[妊姒興周]~임서하[林西河] (0) | 2020.09.01 |
임농탈경[臨農奪耕]~임당권휼고[任棠勸恤孤]~임도상봉여마동[臨渡常逢呂馬童] (0) | 2020.08.31 |
임공육오[任公六鰲]~임공자[任公子]~임공조[任公釣]~임기응변[臨機應變] (0) | 2020.08.31 |
임계병화[壬癸兵火]~임공개[任公犗]~임공객[臨邛客]~임공신과부[臨邛新寡婦] (0) | 2020.08.31 |
임간칠일[林間七逸]~임갈굴정[臨渴掘井]~임강왕[臨江王] (0) | 2020.08.31 |
일휘출수[一麾出守]~일흡서강[一吸西江]~일흥[逸興]~일희일비[一喜一悲] (0) | 202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