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일지상관[一枝尙寬] “뱁새(鷦)는 깊은 수풀에 집을 지어도 한 가지[枝]로 짓는다.”고 하였다. <莊子>
❏ 일지선[一指禪] 전등록(傳燈錄) 금화구지전(金華俱胝傳)에 “어느 중이 천룡을 찾아가니 천룡이 손가락 하나를 세워 법을 보여주므로 중은 크게 깨쳤다. 그는 죽으면서 하는 말이 ‘나는 천룡 일지두선(一指頭禪)을 얻어서 일생을 못다 먹고 간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 일지족[一枝足]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뱁새가 깊은 숲 속에 둥지를 틀 적에 그저 나뭇가지 하나면 족하다.[鷦鷯巢於深林 不過一枝]”는 말이 있다.
❏ 일지초[一枝鷦] 한 가지의 뱁새는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의 “뱁새는 깊은 숲속에 둥우리를 치되 하나의 나무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 데서 나온 것으로, 주로 자기의 분수에 안주하는 것에 비유한다.
❏ 일지춘[一枝春] 헤어진 뒤로 소식을 물어 온 친붕(親朋)이 별로 없었다는 말이다. 후위(後魏)의 육개(陸凱)가 강동(江東)의 매화 한 가지를 친구인 범엽(范曄)에게 보내면서 “매화 가지 꺾다가 역마 탄 사자 만나, 농산(隴山)에 있는 벗에게 부쳐 보내노라. 강남에선 보려 해도 볼 수 없는 것, 가지 하나에 달린 봄 한번 감상하시기를.[折梅逢驛使 寄與隴頭人 江南無所有 聊贈一枝春]”이라고 읊은 유명한 시가 전한다. <太平御覽 卷970 所引 荊州記>
❏ 일직[一直] 안동(安東)의 속현(屬縣)이다.
❏ 일진광풍[一陣狂風] 한바탕 부는 사나운 바람.
❏ 일진월보[日進月步] 나달이 진보(進步)한다. 일취월장(日就月將).
❏ 일진일퇴[一進一退] 한 번 앞으로 나아가고 한 번 뒤로 물러섬. 곧, 나아갔다가 물러섬.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치서[一瓻書]~일침견혈[一針見血]~일침한단[一枕邯鄲]~일탑면[一榻眠] (0) | 2020.08.31 |
---|---|
일출당심[日出當心]~일취월장[日就月將]~일취지몽[一炊之夢]~일취천일성[一醉千日醒] (0) | 2020.08.31 |
일찰[一札]~일체군사[一體君師]~일체변사[一切辯士]~일촉즉발[一觸卽發] (0) | 2020.08.31 |
기술로 다스려야 한다/한비자/외저설(우하)/ (0) | 2020.08.30 |
항아리 물은 큰불을 끄지 못한다/한비자/외저설(우하)/ (0) | 2020.08.30 |
일주[一麈]~일중구오[日中九烏]~일지[一枝]~일지건곤[一指乾坤] (0) | 2020.08.30 |
일점영서[一點靈犀]~일제[日躋]~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0) | 2020.08.30 |
일전불치[一錢不値]~일전쌍조[一箭雙雕]~일전어[一轉語] (0) | 2020.08.30 |
일장산성[日長山城]~일장성[日長城]~일장춘몽[一場春夢]~일전[一錢] (0) | 2020.08.30 |
일자무식[一字無識]~일자사[日字師]~일자천금[一字千金]~일작수[一勺水]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