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일주[一麈] 고라니 꼬리로 만든 먼지털이개의 일종으로, 청담(淸談)을 논하거나 승려들이 법문을 펼칠 때 곧잘 손에 쥐곤 하였다.
❏ 일주관[一柱觀] 일주관은 남조(南朝) 송(宋)의 임천왕(臨川王) 유의경(劉義慶)이 형주(荊州) 나공주(羅公洲)에 세운 누각의 이름으로, 규모가 크면서도 기둥이 하나라고 한다.
❏ 일중구오[日中九烏] 요(堯) 시대에 해[日]가 열개나 생겨나니 초목이 타고 마르므로 활 잘 쏘는 예(羿)를 시켜서 아홉 해를 쏘아서 떨어뜨렸는데, 해 가운데 세발 까마귀[三足鳥]가 들어 있었다 한다.
❏ 일지[壹志] 뜻이 한결같다.
❏ 일지[一枝] 뱁새가 깊은 숲에 둥우리를 짓는 데 있어 필요한 것은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는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자신의 분수를 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넓은 숲 속에서 새가 차지하는 보금자리는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鷦鷯巢於深林 不過一枝]”고 하였다.
❏ 일지[一指]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곽상주(郭象注)에 “지인(知人)은 천지(天地)가 한 개의 손가락이고 만물이 한 필의 말[馬]임을 안다[天地一指也 萬物一馬也]. 그러므로 호연(浩然)히 영정(寧定)되어 천지 만물이 그 분위(分位)를 얻고 자득(自得)에 동일(同一)하여 시(是)도 비(非)도 없다.”고 하였다.
❏ 일지건곤[一指乾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천지는 하나의 손가락이요, 만물은 하나의 말[馬]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출당심[日出當心]~일취월장[日就月將]~일취지몽[一炊之夢]~일취천일성[一醉千日醒] (0) | 2020.08.31 |
---|---|
일찰[一札]~일체군사[一體君師]~일체변사[一切辯士]~일촉즉발[一觸卽發] (0) | 2020.08.31 |
기술로 다스려야 한다/한비자/외저설(우하)/ (0) | 2020.08.30 |
항아리 물은 큰불을 끄지 못한다/한비자/외저설(우하)/ (0) | 2020.08.30 |
일지선[一指禪]~일지족[一枝足]~일지초[一枝鷦]~일지춘[一枝春]~일진월보[日進月步] (0) | 2020.08.30 |
일점영서[一點靈犀]~일제[日躋]~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0) | 2020.08.30 |
일전불치[一錢不値]~일전쌍조[一箭雙雕]~일전어[一轉語] (0) | 2020.08.30 |
일장산성[日長山城]~일장성[日長城]~일장춘몽[一場春夢]~일전[一錢] (0) | 2020.08.30 |
일자무식[一字無識]~일자사[日字師]~일자천금[一字千金]~일작수[一勺水] (0) | 2020.08.30 |
일인불과이인지[一人不過二人智]~일일삼추[一日三秋]~일일장호[一日長乎] (0) | 2020.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