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오[夷吾] 이오는 춘추시대 제(齊)나라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霸業)을 이룬 명상(名相) 관중(管仲)의 이름이다. 환공(桓公)으로부터 숙부(叔父)의 칭호를 들으며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으로 하여금 춘추시대 오패(五霸)의 으뜸이 되게 만들었다.
❏ 이오가이리오국[利吾家而利吾國] 맹자(孟子)에 “왕은 가로되, ‘어찌하면 내 나라를 이롭게 할꼬.’라고 하면, 대부는 가로되, ‘어찌하면 내 집을 이롭게 할꼬,’라고 한다.”는 말이 있다.
❏ 이오봉[李五峯] 오봉(五峯)은 이호민(李好閔)의 호이다.
❏ 이옹[伊翁] 은(殷) 나라 탕왕(湯王)을 도와 왕도 정치(王道政治)를 펼친 이윤(伊尹)을 이른다. 당초 탕왕을 만날 길이 없자 탕왕의 처인 유신씨(有莘氏) 집의 요리사[宰臣]가 된 뒤 솥과 도마를 등에 지고 탕왕을 만나 음식으로써 천하의 도리를 비유해 설명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殷本紀>
❏ 이옹[李邕] 일명 이북해(李北海)로, 특히 행서(行書)에 능하여 생전에 쓴 비서(碑書)가 800여에 이른다고 한다.
❏ 이옹입락[李邕入洛] 좌천하여 지방에 떠돌아다니다가 다시 서울에 돌아오게 된 것을 비유한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이옹은 문명(文名)이 천하에 드높았고 성품이 아주 강직하였는데, 일찍이 간관(諫官)으로 있으면서 너무 과격한 말로 왕을 간한 것이 화근이 되어 좌천되어 여러 지방관으로 돌아다니다가 뒤에 다시 서울에 돌아와 현달하게 되었다. <舊唐書 卷一百九十 李邕傳>
❏ 이완평[李完平] 조선 중기의 명상(名相)으로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에 봉해진 이원익(李元翼)을 가리킨다.
❏ 이왕[二王] 진(晉) 나라의 왕희지(王羲之)와 왕헌지(王獻之)를 말한다.
❏ 이왕지사[已往之事] 이미 지나간 일.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응[李膺]~이응주[李膺舟]~이의분청탁[二儀分淸濁]~이의인[二儀人] (0) | 2020.08.26 |
---|---|
이윤[伊尹]~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이율배반[二律背反]~이은[吏隱] (0) | 2020.08.26 |
이위[伊蔚]~이유[夷猶]~이유[二酉]~이유염매[爾惟鹽梅]~이육[二陸] (0) | 2020.08.26 |
이운[梨雲]~이원반곡[李愿盤谷]~이원법부[梨園法部]~이원제자[梨園弟子] (0) | 2020.08.26 |
이용[利用]~이용후생[利用厚生]~이우북당[伊優北堂]~이우항장[伊優骯髒] (0) | 2020.08.25 |
이여반장[易如反掌]~이연[貽燕]~이영각[邇英閣]~이예[夷羿] (0) | 2020.08.25 |
이양역우[以羊易牛]~이어서신[鯉魚書信]~이어풍[鯉魚風]~이여교[爾汝交] (0) | 2020.08.25 |
이아[爾雅]~이아경[爾雅經]~이아익[爾雅翼] (0) | 2020.08.25 |
이십사절[二十四節]~이십팔괘[二十八卦]~이십팔수[二十八宿]~이씨산방[李氏山房] (0) | 2020.08.25 |
이심전심[以心傳心]~이십번풍[二十番風]~이십사교[二十四橋]~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