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이순[耳順] 60. 귀가 순해지다. 귀로 어떤 말을 듣건 그 뜻을 다 아는 것. 공자가 나이 60이 되자, 학문의 완숙 경지에 이르러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곧바로 그 말뜻을 알게 되었다 한다. 논어(論語) 위정(爲政)“60세에 말을 들으면 저절로 그 뜻을 알았다.[六十而耳順]”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이승지석[李承旨席] 조선 철종(哲宗) 때의 문신(文臣) 이시원(李是遠)이 짜 팔던 돗자리. 이시원은 집이 가난하여 돗자리를 짜 팔아서 부모를 봉양하였는데, 현달한 뒤에도 그렇게 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이를 이승지석이라 하였다.

이시[梨腮] 얼은 배처럼 검버섯이 생긴 노인의 얼굴을 말한다.

이시[利市] 이시는 팔아서 이득을 얻는다는 뜻인데, 주역(周易) 설괘(說卦)시가의 세 배에 가까운 이득이 된다.[爲近利市三倍]”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이시수[二始守] 시평 태수(始平太守)를 지낸 진() 나라의 완함(阮咸)과 시안 태수(始安太守)를 역임한 남조(南朝) ()의 안연지(顔延之)를 가리킨다. 송서(宋書) 안연지전(顔延之傳)옛날 순욱(荀勗)은 완함을 꺼린 나머지 시평군으로 쫓아냈는데, 지금 그대 역시 시안군으로 가게 되었으니, 참으로 이시(二始)라고 말할 만하다.”고 하였다.

이시애[李施愛] 이시애는 판회령부사(判會寧府事) 등을 역임한 뒤, 조정에 불만을 품고 함경도 병마절도사 강효문(康孝文)과 그 휘하 군관을 살해한 다음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조정에 대해서는 강효문이 반란을 꾀하므로 처형했다고 보고하고, 북도민의 민심을 얻어 단천(端川북청(北靑홍원(洪原) 등지를 공략 점거했는데, 조정에서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을 사도병마도통사(四道兵馬都統使)로 삼고 여러 장수들을 거느리고 가서 그를 토벌하게 하여 끝내 그를 잡아 참수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