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소걸해도[二疏乞骸圖] 이소걸해도는 한 선제(漢宣帝) 때 소광(疏廣)·소수(疏受) 두 사람이 함께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돌아간 것을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당시 소광은 태자태부(太子太傅)였고 그의 조카 소수는 태자소부(太子小傅)였는데, 위인이 모두 청렴결백하여 성만(盛滿)을 느끼어 함께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돌아가자, 수많은 도중(都中)의 인사들이 동문(東門)까지 나와 그들을 송별하였다 한다. <漢書 卷七十一>
❏ 이소경삼[離騷徑三] 굴원(屈原)의 이소에 꽃과 풀이 많이 나오지만 매화는 없고, 도연명(陶淵明)의 삼경은 송(松), 죽(竹), 국(菊) 뿐이었다.
❏ 이소공[二疏公] 한(漢) 나라 때 소광(疏廣)과 소수(疏受) 두 사람을 합칭한 말이다. 소수는 곧 소광의 조카로, 같은 때에 소광은 태자태부(太子太傅)가 되고 소수는 태자소부(太子少傅)가 되었는데, 이 관직에 있은 지 5년만에 성만(盛滿)을 경계하여 함께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버렸다. <漢書 疏廣傳>
❏ 이소공기굴평애[離騷空寄屈平哀] 초사(楚辭)의 한 편(篇), 굴원(屈原)의 작이다. 굴원이 초(楚) 나라의 종실(宗室)과 대부(大夫)의 참소 때문에 쫓겨나 근심하고 시름하여 지은 것이다. 이(離)는 만남[遭]이요, 소(騷)는 근심이니, ‘근심을 만나 지은 글’이란 뜻이다.
❏ 이소부[離騷賦] 전국 시대 때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부(賦)로, 굴원이 충성을 다해 임금을 섬겼으나 임금이 간사한 자의 참소를 듣고 멀리하므로 이를 지었다고 한다.
❏ 이소사대[以小事大] 대국(大國)이 소국(小國)을 섬기는 것은 낙천(樂天)하는 것이요, 소국이 대국을 섬기는 것은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맹자(孟子)>
❏ 이소원[離騷怨] 임금이 자기를 알아주지 않음을 원망한다는 말. 이소는 초사(楚辭)의 편명으로 굴원이 지었다. 그 내용은 대략, 충성을 다하여 임금을 받들었으나 간신의 모략에 걸려 쫓겨났음을 하소한 것이다. <史記 屈原傳>
❏ 이소자수루[離騷玆樹漏] 이소경은 전국 시대 초(楚) 나라 대부 굴원(屈原)이 지었는데, 내용 중에 향초(香草)는 충신(忠臣)에, 악초는 간신에 비유하여 풀이나 나무 이름이 많이 나오나 유독 매화만은 나오지 않는다.
❏ 이소향초[離騷香草] 이소경은 초사(楚辭)의 편명으로 초 나라 대부 굴원(屈原)이 지었는데, 좋은 새와 향초(香草)는 충정(忠貞)한 사람을, 악조(惡鳥)와 악초는 간신을 비유하였다.
❏ 이손곡[李蓀谷] 조선 시대 시인(詩人) 이달(李達)을 말한다. 손곡은 그의 호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십사절[二十四節]~이십팔괘[二十八卦]~이십팔수[二十八宿]~이씨산방[李氏山房] (0) | 2020.08.25 |
---|---|
이심전심[以心傳心]~이십번풍[二十番風]~이십사교[二十四橋]~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0) | 2020.08.25 |
이식[耳食]~이식한[李識韓]~이신[李紳]~이신위마[以神爲馬]~이실[貳室] (0) | 2020.08.25 |
이순[耳順]~이승지석[李承旨席]~이시[梨腮]~이시수[二始守] (0) | 2020.08.25 |
이수[貍首]~이수[二豎]~이수전[二竪纏]~이숙황량[已熟黃粱] (0) | 2020.08.25 |
이소[李愬]~이소[離騷]~이소[離疎]~이소[二疏] (0) | 2020.08.25 |
이석[李石]~이섭[利涉]~이성[犂星]~이세민[李世民]~이세적[李世勣] (0) | 2020.08.25 |
이상동몽[異床同夢]~이상로[圯上老]~이상일편[圯上一篇] (0) | 2020.08.25 |
이산[尼山]~이산[移山]~이상[履霜]~이상[爾相] (0) | 2020.08.25 |
이사부[異斯夫]~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이사훈[李思訓]~이삭[離索]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