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읍도궁[泣途窮] 삼국 시대 위(魏) 나라 완적(阮籍)이 울분을 달래려고 혼자 수레를 타고 나갔다가 길이 막히면 문득 통곡하고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여, 곤경(困境)에 떨어진 처지를 한탄하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三國志 卷21 魏書 王粲傳 註>
❏ 읍루[挹婁] 읍루는 만주의 혼동강(混同江) 일대에 사는 오랑캐이다.
❏ 읍리가다고[邑裏歌多袴] 수령을 기리는 노래를 말한다. 후한(後漢)의 염범(廉范)이 촉군(蜀郡)의 수령(守令)으로 가서 폐단 많던 구제(舊制)를 개혁하여 새 법을 시행하니 백성의 살림이 넉넉하게 되었으므로 그들이 노래하기를 “예전에는 속옷도 없더니 지금은 바지가 다섯 벌이나 된다.”고 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것이다. <後漢書 廉范傳>
❏ 읍린[泣麟] 노애공(魯哀公) 14년에 서(西)로 사냥가서 기린을 잡으니 공자(孔子)가 보고 울고 돌아와 그가 짓던 춘추(春秋)에 “西狩獲麟”이라 마지막으로 쓰고 붓을 끊었다.
❏ 읍린[泣麟] 도가 행하여지지 않는 것을 탄식한다는 뜻. 노 애공(魯哀公) 14년에 사냥하다가 기린을 잡았는데 공자(孔子)가 이를 보고 때가 아닌 때 기린이 나왔다는 것으로 춘추(春秋)의 집필을 그만두었다는 데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서[應徐]~응숙[應宿]~응양[鷹揚]~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응유[應劉] (0) | 2020.08.22 |
---|---|
응룡[應龍]~응문[膺門]~응방[應榜]~응벽지[凝碧池]~응빙초화[凝氷焦火] (0) | 2020.08.22 |
읍청루[挹淸樓]~응거[應璩]~응념원유난[應念遠遊難]~응대여류[應對如流] (0) | 2020.08.22 |
읍주인[泣珠人]~읍중가고[邑中歌袴]~읍중검[邑中黔]~읍참마속[泣斬馬謖] (0) | 2020.08.22 |
읍백[揖白]~읍사[泣絲]~읍양[揖讓]~읍옥[泣玉]~읍옥화[泣玉和] (0) | 2020.08.22 |
음하[飮霞]~음하복[飮河腹]~음화[陰火]~음회세위[飮灰洗胃]~읍고[泣辜] (0) | 2020.08.22 |
음즐[陰騭]~음찬[音讚]~음택반어[吟澤畔漁]~음파[飮罷]~음풍농월[吟風弄月] (0) | 2020.08.22 |
음음[崟崟]~음음[淫淫]~음음[愔愔]~음인무사[飮因無事]~음일[淫溢] (0) | 2020.08.22 |
음양삼합[陰陽三合]~음양지환[陰陽之患]~음와[淫洼]~음용[音容] (0) | 2020.08.22 |
음산[陰山]~음선[飮仙]~음송백[蔭松柏]~음애[霠皚]~음약석상배[吟藥昔相陪] (0)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