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우호[憂瓠] 혜시(惠施)가 장자의 주장이 멋없이 크기만 하고 쓸모없음을, 펑퍼짐하니 크기만 하고 아무 소용에도 닿지 않는 박에 비유하자, 장자는 혜시가 마음이 막혀 큰 것을 쓸 줄 모름을 지적하고 큰 박을 줄로 엮어 물에 띄워 타고 놀 수 있음을 일러 주었다. <莊子 逍遙遊>
❏ 우화[雨花] 불조(佛祖)가 설법(說法)할 적에 제천(諸天)에서 뭇 꽃들을 내려 공중에 가득히 내려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우화단[雨花壇] 승려가 불경(佛經)을 강설하는 곳을 이른다. 양 무제(梁武帝) 때에 한 법사(法師)가 어느 대(臺)에서 불경을 강설하는데, 강설이 하늘을 감동시켜 꽃이 비처럼 쏟아져 내렸으므로 그 대를 우화대(雨花臺)라고 명명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우화등선[羽化登仙]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치어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감. 소식(蘇軾)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 나오는 말이다.
❏ 우화서피[虞龢舒被] 우화는 진(陳)나라 여요(餘姚)사람인데, 젊었을 때 집이 가난하여 비에 지붕이 새자 이불을 펴 책을 덮어 책이 젖지 않게 하였다 한다. <南史 卷七十二 虞龢傳>
❏ 우환필연역[憂患必衍易] 우환 속에 반드시 주역이 생김. 사람이 근심 걱정이 없으면 그 자체로 만족하여 달리 무엇을 하려고 하거나 또 그럴 이유도 없지만, 근심 걱정이 있으면 그것을 타개하고 예방할 방도를 탐구하기 마련이다. 신농(神農)과 황제(黃帝)가 역효(易爻)와 괘상(卦象)을 만든 뒤에 문왕(文王)이 주역을 또 만든 것은 문왕(文王)이 상주(商紂)에 의해 유리(羑里)감옥에서 옥살이를 하던 중 후세에 법을 남겨 근심 걱정을 예방하기 위한 일환이었다 한다. 곧 주역은 근심 걱정을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주역(周易) 계사하(繫辭下)에 “역(易)이 생긴 것은 중고시대일 것이다. 역을 지은이는 반드시 근심 걱정이 있었을 것이다.”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니지차[雲泥之差]~운대[雲臺]~운대[芸臺]~운대상[雲臺像] (0) | 2020.03.25 |
---|---|
운근성풍[運斤成風]~운금낭[雲錦囊]~운금자[雲錦字]~운급[雲笈] (0) | 2020.03.24 |
운고[韻考]~운곡[雲谷]~운관[雲官]~운교잠[霣喬岑]~운구[雲衢] (0) | 2020.03.23 |
욱욱[旭旭]~욱일승천[旭日昇天]~운간원로[雲間鵷鷺]~운간육[雲間陸]~운거[雲車] (0) | 2020.03.20 |
우회촌[禹會村]~우후[牛後]~우희청저공[憂喜聽狙公]~우희초[虞姬草] (0) | 2020.03.19 |
우탁[牛鐸]~우투성[牛鬪聲]~우혈[禹穴]~우혜[禹蹊] (0) | 2020.03.17 |
우차[旴嗟]~우천[牛喘]~우천순연[雨天順延]~우천화[雨天花] (0) | 2020.03.16 |
우제선기[虞帝璿璣]~우주타청[紆朱拖靑]~우중사[藕中絲]~우직[寓直] (0) | 2020.03.13 |
우정[郵亭]~우정국[于定國]~우정서[虞庭瑞]~우정희기시[虞廷喜起詩] (0) | 2020.03.12 |
우저봉기[牛渚鳳機]~우저연서[牛渚燃犀]~우저희노[愚狙喜怒]~우전아[雨前芽] (0) | 202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