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욕각문신종[欲覺聞晨鍾] 두보(杜甫)의 시집 첫 번째로 등장하는 유용문봉선사(遊龍門奉先寺)’라는 오언율(五言律) 낙구(落句)잠 깰 즈음 들려오는 새벽 종소리, 사람을 대오 각성(大悟覺醒) 시키는도다.[欲覺聞晨鍾 令人發深省]”라는 표현이 있다.

욕계[慾界] 욕심에 젖은 세계.

욕기[浴沂] 증점(曾點)이 공자(孔子)의 물음에 자기의 뜻을 대답하기를 모춘(暮春)에 봄옷이 만들어지거든 관자(冠者) 5, 6, 동자(童子) 6, 7인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쐰 다음, 시가를 읊으면서 돌아오겠습니다.[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先進>

욕기수[浴沂水] 고상한 뜻을 품고 한가로이 유람함을 말한다. 논어(論語) 선진(先進)공자(孔子)가 그 제자인 자로(子路)증석(曾晳)염유(冉有)공서화(公西華)와 함께 있다가 각각 그 바라는 뜻을 묻자, 증점(曾點)늦은 봄에 봄옷이 이미 이루어졌으면, ()을 쓴 어른 5~6명과 함께 동자(童子) 6~7인을 데리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 쐬다 시를 읊조리며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가 감탄하면서 나는 증점을 따르겠다.’고 하였다.”라고 한다.

욕기여점[浴沂與點] 기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물 이름이다.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하라 하자, 뜻이 고상한 증점(曾點)봄철에 어른 5~6명과 동자(童子) 6~7명과 함께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소풍한 다음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는 감탄하며 나는 증점을 허여한다.”라고 하였다. <論語 先進>

욕기영귀[浴沂咏歸] 공자 앞에서 여러 제자들이 각기 제 뜻을 말할[言誌] 때 증점(曾點)이 남다르게 술회(述懷)하여 공자의 동감(同感)을 얻은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先進)편에 늦은 봄에 봄 옷이 이뤄지거든 관동 6,7명으로 더불어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에 바람 쏘이고 읊으며 돌아오리이다.[莫春者 春服旣成 冠童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咏而歸]”라는 말이 있다.

욕기풍우[浴沂風雩] 기수에 가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 쏘임. 공자가 몇몇 제자들에게 각기 취향을 말하도록 물었을 때 증점(曾點)이 답한 내용의 일부이다. <論語 先進>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