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욕각문신종[欲覺聞晨鍾] 두보(杜甫)의 시집 첫 번째로 등장하는 ‘유용문봉선사(遊龍門奉先寺)’라는 오언율(五言律) 낙구(落句)에 “잠 깰 즈음 들려오는 새벽 종소리, 사람을 대오 각성(大悟覺醒) 시키는도다.[欲覺聞晨鍾 令人發深省]”라는 표현이 있다.
❏ 욕계[慾界] 욕심에 젖은 세계.
❏ 욕기[浴沂] 증점(曾點)이 공자(孔子)의 물음에 자기의 뜻을 대답하기를 “모춘(暮春)에 봄옷이 만들어지거든 관자(冠者) 5, 6인, 동자(童子) 6, 7인과 함께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쐰 다음, 시가를 읊으면서 돌아오겠습니다.[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先進>
❏ 욕기수[浴沂水] 고상한 뜻을 품고 한가로이 유람함을 말한다. 논어(論語) 선진(先進)에 “공자(孔子)가 그 제자인 자로(子路)・증석(曾晳)・염유(冉有)・공서화(公西華)와 함께 있다가 각각 그 바라는 뜻을 묻자, 증점(曾點)은 ‘늦은 봄에 봄옷이 이미 이루어졌으면, 관(冠)을 쓴 어른 5~6명과 함께 동자(童子) 6~7인을 데리고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 쐬다 시를 읊조리며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가 감탄하면서 ‘나는 증점을 따르겠다.’고 하였다.”라고 한다.
❏ 욕기여점[浴沂與點] 기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물 이름이다.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하라 하자, 뜻이 고상한 증점(曾點)은 “봄철에 어른 5~6명과 동자(童子) 6~7명과 함께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소풍한 다음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는 감탄하며 “나는 증점을 허여한다.”라고 하였다. <論語 先進>
❏ 욕기영귀[浴沂咏歸] 공자 앞에서 여러 제자들이 각기 제 뜻을 말할[言誌] 때 증점(曾點)이 남다르게 술회(述懷)하여 공자의 동감(同感)을 얻은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先進)편에 “늦은 봄에 봄 옷이 이뤄지거든 관동 6,7명으로 더불어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에 바람 쏘이고 읊으며 돌아오리이다.[莫春者 春服旣成 冠童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咏而歸]”라는 말이 있다.
❏ 욕기풍우[浴沂風雩] 기수에 가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 쏘임. 공자가 몇몇 제자들에게 각기 취향을 말하도록 물었을 때 증점(曾點)이 답한 내용의 일부이다. <論語 先進>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뇌선[龍腦蟬]~용다[龍茶]~용도[龍韜]~용등삼급[龍登三級] (0) | 2020.01.07 |
---|---|
용광사두전[龍光射斗躔]~용구[龍龜]~용기[容璣]~용기[龍氣] (0) | 2020.01.06 |
용건식토[龍巾拭吐]~용검[龍劍]~용견음득설중시[聳肩吟得雪中詩]~용고[龍膏 (0) | 2020.01.03 |
욕일[浴日]~욕전[浴殿]~용가방[龍哥榜]~용개고문[容蓋高門] (0) | 2020.01.02 |
욕반창염[欲攀蒼髥]~욕새맹진[欲塞孟津]~욕소필연[欲燒筆硯]~욕식[蓐食] (0) | 2019.12.31 |
요환유이[瑤環瑜珥]~요황위자[姚黃魏紫]~요황화[姚黃花]~요휘[瑤徽] (0) | 2019.12.27 |
요학[遼鶴]~요학기시환[遼鶴幾時還]~요해이가[遼海移家]~요협[瑤莢] (0) | 2019.12.26 |
요편[瑤編]~요포[瑤圃]~요하[么荷]~요하황금요계자[腰下黃金饒季子] (0) | 2019.12.24 |
요천일재[寥天一齋]~요체[拗體]~요초[妖草]~요치[淖齒] (0) | 2019.12.23 |
요주[遼柱]~요지연[瑤池宴]~요지유[繞指柔] (0) | 2019.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