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왕도[王桃] 3천 년에 한 번씩 열린다는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로, 동해 바다에 있다는 삼신산(三神山)의 선도(仙桃)를 말한다.
❏ 왕도[王導] 자(字)는 무홍(茂弘), 임기(臨沂) 사람. 동진(東晉) 때 승상(丞相)을 지냈다.
❏ 왕돈[王敦] 왕도(王導)의 당형(堂兄)으로서 자(字)는 처중(處仲)이며 일찍이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을 지냈다.
❏ 왕돈[王敦] 왕돈은 진(晉)나라 임기(臨沂)사람인데 그의 종형(從兄) 왕도(王導)와 함께 원제(元帝)를 적극 추대하여 요동대장군 겸 도독육주제군사(遼東大將軍兼都督六州諸軍事)가 되었다가 강주 자사(江州刺史)와 형주자사(荊州刺史)를 지냈다. 나중에는 권력을 잡고서는 군사들을 휘하에 거느리고 왕을 조알(朝謁)하지 않음으로써 조정을 좌지우지할 계획을 갖고 있다가 결국 반란을 일으켜 조정에 들어가 스스로 승상이 되었으며, 원제가 죽은 뒤에 물러나 있다가 또 반란을 일으켜 군사를 지휘하던 중 병으로 죽어 결국 실패하고 시신의 목이 잘려 저자 거리에 내걸렸다. <晉書 卷九十八 王敦傳>
❏ 왕돈개합[王敦開閤] 진(晉) 나라 때 왕돈(王敦)이 여색(女色)에 빠져 몸이 무척 쇠약해지자 좌우(左右)에서 여색을 삼가라고 간(諫)하므로, 왕돈이 “그것이야 매우 쉬운 일이다.”라 하고는, 뒤의 합문(閤門)을 활짝 열어젖히고서 비첩(婢妾) 수십 명을 모두 몰아내었으므로 세상 사람들이 경탄하였다.
❏ 왕랑[王郞] 왕랑은 임공영(臨邛令)으로 있던 왕길(王吉)을 가리킨다.
❏ 왕랑담우[王郞啖牛] 진(晉) 나라 왕희지(王羲之)가 소싯적에 세상에서 가장 귀한 음식으로 여기는 소 심장을 꺼내 맛본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卷6 汰侈>
❏ 왕랑회선[王郞回船] 진(晉) 나라 때 호방한 사람으로 유명한 왕휘지(王徽之)가 눈이 내리는 밤 흥에 겨워 배를 저어 섬계(剡溪)에 사는 친구 대규(戴逵)를 찾아갔다가 그의 문전에서 다시 되돌아왔다 한다. <晉書 卷八十 王徽之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상[王祥]~왕생읍우의[王生泣牛衣]~왕섭령[王葉令]~왕소군[王昭君] (0) | 2019.11.15 |
---|---|
왕사[王謝]~왕사가[王謝家]~왕사종[王嗣宗]~왕사축승[王思逐蠅] (0) | 2019.11.14 |
왕몽[王濛]~왕방야화[王逄野火]~왕부현[王鳧縣]~왕비[王伾] (0) | 2019.11.13 |
왕망[王莽]~왕명비[王明妃]~왕모도[王母桃]~왕모요지[王母瑤池] (0) | 2019.11.12 |
왕량[王良]~왕령비석[王令飛舃]~왕릉[王陵]~왕리[王李] (0) | 2019.11.11 |
왕교[王喬]~왕교석[王喬舃]~왕교적석[王喬赤舃]~왕기[汪錡]~왕길[王吉] (0) | 2019.11.07 |
왕개[王愷]~왕검성[王險成]~왕관곡[王官谷]~왕관삼휴[王官三休] (0) | 2019.11.06 |
왈리왈시[曰梨曰柹]~왕가주수[王家珠樹]~왕가착색산[王家着色山 (0) | 2019.11.05 |
완화계[浣花溪]~완화락[浣花樂]~완화자분[玩火自焚]~완화촌[浣花村] (0) | 2019.11.04 |
완전[宛闐]~완조[頑操]~완항[阮巷]~완항[鵷行]~완협[緩頰]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