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왈가왈부[曰可曰否] 어떤 일에 대하여 옳거니, 옳지 않거니 하고 말한다.
❏ 왈리왈시[曰梨曰柹] 배 놓아라, 감 놓아라 한다. 즉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함을 이른다.
❏ 왕가[王家] 오대(五代) 시대 전촉(前蜀)을 세운 왕씨(王氏)의 조정을 말한다.
❏ 왕가주수[王家珠樹] 당나라 왕발(王勃)의 삼형제(三兄弟)가 모두 글을 잘하므로 두이간(杜易簡)이 “왕씨 집의 세 구슬나무라.[王家三珠樹]”고 칭찬하였다.
❏ 왕가주수[王家珠樹] 왕가는 당(唐) 나라 때의 왕복치(王福峙) 집을 가리키며, 주수(珠樹)는 선목(仙木)으로 남의 훌륭한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복치의 아들 발(勃) 등 5형제가 모두 문장이 뛰어나니 사람들은 주수라고 일컬었다. 한번은 복치가 한언사(韓彦思)에게 아들 자랑을 하자, 언사는 희롱하기를 “무자(武子)는 말을 자랑하는 벽(癖)이 있더니 자네는 아들을 자랑하는 벽이 있네.”라고 하였다.
❏ 왕가주수삼[王家珠樹三] 훌륭한 형제들을 일컫는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왕거(王劇)・왕면(王勔)・왕발(王勃) 3형제가 모두 재사(才士)로 이름이 높아 당시에 이들을 삼주수(三珠樹)라 일컬었다.
❏ 왕가착색산[王家着色山] 왕가는 송(宋) 나라 왕선(王詵)을 가리킨 것으로 자(字)는 진경(晉卿)이다. 시서화(詩書畫)를 잘했으며 동파(東坡) 소식(蘇軾)과 친했다. 착색산은 채색으로 그린 산수화(山水畫). 소식의 왕진경소장착색산(王晉卿所藏著色山) 시에 “그동안 한 번 변하여 풍류가 없어졌으니 누가 장군의 착색산을 보겠는가[爾來一變風流盡 誰見將軍著色山]”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망[王莽]~왕명비[王明妃]~왕모도[王母桃]~왕모요지[王母瑤池] (0) | 2019.11.12 |
---|---|
왕량[王良]~왕령비석[王令飛舃]~왕릉[王陵]~왕리[王李] (0) | 2019.11.11 |
왕도[王桃]~왕돈개합[王敦開閤]~왕랑담우[王郞啖牛]~왕랑회선[王郞回船] (0) | 2019.11.08 |
왕교[王喬]~왕교석[王喬舃]~왕교적석[王喬赤舃]~왕기[汪錡]~왕길[王吉] (0) | 2019.11.07 |
왕개[王愷]~왕검성[王險成]~왕관곡[王官谷]~왕관삼휴[王官三休] (0) | 2019.11.06 |
완화계[浣花溪]~완화락[浣花樂]~완화자분[玩火自焚]~완화촌[浣花村] (0) | 2019.11.04 |
완전[宛闐]~완조[頑操]~완항[阮巷]~완항[鵷行]~완협[緩頰] (0) | 2019.11.01 |
완적곡도궁[阮籍哭途窮]~완적장소[阮籍長嘯]~완적청안[阮籍靑眼] (0) | 2019.10.31 |
완안[阮眼]~완완[婉婉]~완유[阮裕]~완이[莞爾] (0) | 2019.10.30 |
완사종[阮嗣宗]~완사천[浣紗泉]~완산조[完山鳥]~완선[頑仙]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