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완도통[阮途痛] 궁도(窮途)의 아픔. () 나라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었던 완적(阮籍)이 놀러 나갔다가 수레가 통과하지 못하는 곳에 이르러 통곡하고 돌아온 고사(故事)에서 온 말이다. <晉書 阮籍傳>

완동[阮洞] 택당의 거처를 말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인 진() 나라 완적(阮籍)과 그 조카인 완함(阮咸)을 이완(二阮)이라고 불렀는데, 택당이 자신의 숙부인 동악(東岳)과 병칭하면서 흔히 이 비유를 원용하였다.

완랑귀[阮郞歸] () 나라 때 안기도(晏幾道)가 지은 악부가사(樂府歌詞)의 이름인데, 내용은 곧 머나먼 타향에 기우(寄寓)하는 나그네의 통절한 고민(苦悶)과 유원(幽怨)의 심정을 담은 것이다.

완랑귀[阮郞歸] 옛날 사패(詞牌)의 곡명(曲名)이다. 한 명제(漢明帝) 때 유신(劉晨)과 완조(阮肇) 두 사람이 천태산(天台山)으로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선녀(仙女)를 만나 극진한 환대를 받고 돌아왔다는 전설에 근거한 노래이다. <太平御覽 卷41 引用註>

완름연계[完廩捐階] 맹자(孟子) 만장 상(萬章 上)그 아버지가 순()에게 창고의 지붕을 이라고 하여 순이 올라가 지붕을 이는 사이에 아버지가 사다리를 떼고 불을 질렀다.”라고 하였다.

완물상지[玩物喪志] 쓸 데 없는 물건을 가지고 노는 데 정신이 팔려 소중한 자기의 의지를 잃음. 물질에만 너무 집착한다면 마음 속의 빈곤을 가져와 본심을 잃게 됨을 비유한 말이다.

완벽[完璧] 전국시대 인상여(藺相如)의 고사(故事)로 구슬을 온전히 지켜 냄. 어떤 사물이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거나 또는 일처리를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게 한 것을 가리킨다.

완보병[阮步兵] 보병교위(步兵校尉)를 역임한 진() 나라 완적(阮籍)을 이른다. 완적은 천성이 방달불기(放達不羈)하여 때로는 마음 내키는 대로 수레를 타고 아무 곳으로나 가다가 더 이상 갈 수 없이 길이 막히면 통곡하고 돌아왔다 한다. <晉書 阮籍列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