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와철반거[臥轍攀車] 선정(善政)을 베푼 지방 관원이 다른 곳에 가지 못하도록 그 지방의 주민들이 수레를 붙잡고서 만류하기도 하고[攀車] 수레바퀴 앞에 누워서[臥轍] 더 이상 가지 못하도록 하소연하는 것을 말한다. <後漢書 卷26 侯霸列傳>
❏ 와치[臥治] 한(漢) 나라 급암(汲黯)이 동해 태수(東海太守)가 되었을 때에 문밖에 나가지 않고 누워서 다스렸는데도, 1년이 넘어 고을이 크게 잘 다스려졌다.
❏ 와탑불용인[臥榻不容人] 타인(他人)이 자기 영역 안에 침범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와탑은 침대, 즉 자기의 영역 안을 말하는데, 속통감장편(續通鑑長編) 송태조기(宋太祖紀)에 “송(宋)나라가 강남(江南)을 칠 때, 서현(徐鉉)이 상께 아뢰어 원병(援兵)을 청하자, 상이 ‘강남도 무슨 죄야 있겠는가만 오직 천하가 한집일 뿐인데, 침대 옆에서 타인이 코 골며 자는 꼴을 어찌 용납하랴.’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 와합[瓦合] 깨진 기와 조각을 맞추어 보는 것과 같이 아무리 합쳐 보아도 완전하게 되지 않음을 말한다.
❏ 와합현자사[臥閤賢刺史] 한(漢)나라 급암(汲黯)이 동해태수(東海太守)가 되어 문을 닫고 누워서 백성을 다스리니, 1년 남짓하여 동해군이 매우 잘 다스려졌다.
❏ 와현치적[瓦峴治績] 공덕비(功德碑)가 세워질 만한 선정(善政)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태종 3년에 황희(黃喜)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기근을 구제하며 선정을 베풀었으므로, 백성들이 삼척(三陟) 와현(瓦峴) 꼭대기에 대(臺)를 쌓고 소공대(召公臺)라 하였다 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44>
❏ 와회양[臥淮陽] ‘회양(淮陽)에서 누워 있으면 행정을 잘한 사람’으로 한 나라의 급암(汲黯)을 이른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안[阮眼]~완완[婉婉]~완유[阮裕]~완이[莞爾] (0) | 2019.10.30 |
---|---|
완사종[阮嗣宗]~완사천[浣紗泉]~완산조[完山鳥]~완선[頑仙] (0) | 2019.10.29 |
완부[頑夫]~완부납극[阮孚蠟屐]~완부호리화교전[阮孚好履和嶠錢] (0) | 2019.10.28 |
완도통[阮途痛]~완랑귀[阮郞歸]~완물상지[玩物喪志]~완보병[阮步兵] (0) | 2019.10.25 |
완가질[阮家姪]~완계사[浣溪莎]~완남[阮南]~완대[緩帶] (0) | 2019.10.24 |
와의무고[瓦衣無苦]~와쟁만촉[蝸爭蠻觸]~와전[瓦全]~와준[窪樽] (0) | 2019.10.22 |
와신상담[臥薪嘗膽]~와아대소[䵷兒大笑]~와유[臥游]~와유의[瓦油衣] (0) | 2019.10.21 |
와부[瓦釜]~와부뇌명[瓦釜雷鳴]~와설안[臥雪安]~와수[渦水] (0) | 2019.10.18 |
와대고취[蛙代鼓吹]~와료[窪寥]~와룡[臥龍]~와리[臥理] (0) | 2019.10.17 |
와각양웅[蝸角兩雄]~와각지쟁[蝸角之爭]~와각투웅[蝸角鬪雄] (0) | 201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