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옥석[玉舃] 선인(仙人) 안기생(安期生)이 진시황(秦始皇)에게 남겨 주었다는 붉은 색깔의 옥신발[赤玉舃]이다.

옥석구분[玉石俱焚] 옥과 돌이 함께 탄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나 악한 사람이 다 같이 재앙(災殃)을 당하는 것을 비유하여 일컫는 말이다.

옥석동궤[玉石同匱] 옥과 돌이 한 궤짝 속에 있음. 좋은 것과 나쁜 것, 혹은 똑똑한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이 한데 섞여 있는 경우를 말한다.

옥석일시분[玉石一時焚] 서경(書經)곤강(崑崗)에 불이 붙으면 옥과 돌이 다 탄다.”는 말이 있는데, ()()이 다 해를 입음을 뜻한다.

옥석장[玉舃藏] 인간 세상을 떠났다는 말이다. 선인(仙人) 안기생(安期生)이 진시황(秦始皇)을 만나 사흘 낮 밤을 이야기하다가 붉은 옥으로 만든 신발[赤玉舃]을 남겨 두고 떠났다는 전설이 있다. <列仙傳 安期先生>

옥석혼효[玉石混淆] 훌륭한 것과 쓸데없는 것이 뒤섞여 있다는 뜻의 고사성어. 옥과 돌이 함께 섞여 있다는 뜻으로, 착한 것과 악한 것, 또는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한데 섞여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옥석동궤(玉石同櫃).

옥섬[玉蟾] 달을 옥두꺼비[玉蟾]이라 한다.

옥섬[玉蟾] 연적을 이른다. () 나라 때 광릉왕(廣陵王)이 진 영공(晉靈公)의 무덤을 파서 큰 주먹만한 옥 두꺼비 하나를 얻었는데, 그 속에는 물을 5()쯤 담을 수 있고 아주 새것처럼 광택이 있으므로, 이것을 연적으로 사용했던 데서 온 말이다.

옥섬여[玉蟾蜍] 연적(硯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