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오덕[五德] 닭이 지닌 다섯 가지 덕을 말한다. 한시외전(韓詩外傳) 권2에 “머리의 벼슬은 문(文)이고, 날카로운 발톱은 무(武)이고, 적과 용감하게 싸우는 것은 용(勇)이고, 먹이를 서로 나누어 먹는 것은 인(仁)이고, 어김없이 새벽의 시간을 알리는 것은 신(信)이다.”라고 하였다.
❏ 오덕[五德] 유가에서는 온화, 양순, 공손, 검소, 겸양이고, 법가에서는 지(智), 신(信), 인(仁), 엄(嚴), 용(勇)이고, 불가에서는 포마(怖魔), 걸사(乞士), 정계(淨戒), 정명(淨命), 파악(破惡)이다.
❏ 오도[於菟] 호랑이의 이명(異名)인데 춘추 시대(春秋時代) 초(楚) 나라의 방언이었다. <左傳 宣公 四年>
❏ 오도[吾道] 유도(儒道)를 말한다. 논어(論語) 이인(里仁)에 “나의 도는 하나로써 꿰노라.[吾道一以貫之]”라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 오도[午道] 종횡으로 교차하는 간선도로로 조와 제 두 나라의 접경지대에 있었다.
❏ 오도관지[吾道貫之] “나의 도는 하나로써 꿰노라.[吾道一以貫之]”라고 공자가 말하였다. 이치로 천하 만사의 이치를 통일한다는 뜻이다.
❏ 오도보천추[五道補天陬] 세운(世運)을 되돌이킬 만한 큰 공을 세웠다는 뜻이다. 옛날에 여와(女媧)가 사극(四極)이 폐해지고 구주(九州)가 찢어져서 하늘이 만물을 덮어 주지 못하고 땅이 만물을 실어 주지 못하자, 다섯 색깔의 돌을 녹여서 하늘의 뚫어진 데를 꿰매었다고 한다. <淮南子 覽冥訓>
❏ 오도비여하지차[吾道非歟何至此]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나의 도(道)가 잘못된 것이 아니냐. 내가 왜 이런 경우에 이르렀느냐.”라 하였다.
❏ 오도자[吳道子] 당(唐) 나라 때의 화가인 오도현(吳道玄)을 말한다. 도자는 곧 오도현의 자이다.
❏ 오도피우남[吾道被于南] 송(宋) 나라 양시(楊時)가 명도(明道) 정호(程顥)에게 배우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 명도가 좌객(坐客)들에게 “내 도가 남으로 가는군.[吾道南矣]”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송사宋史 권428>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릉공자[五陵公子]~오릉사[於陵士]~오릉중자[於陵仲子] (0) | 2019.06.17 |
---|---|
오류[五柳]~오류비[五柳扉]~오류선생[五柳先生]~오륜[五倫] (0) | 2019.06.14 |
오란[烏闌]~오령[五嶺]~오로봉[五老峯]~오룡[烏龍] (0) | 2019.06.13 |
오두미[五斗米]~오두변백[烏頭變白]~오두해정[五斗解酲] (0) | 2019.06.12 |
오동일엽[梧桐一葉]~오두[烏頭]~오두[五斗]~오두[遨頭] (0) | 2019.06.11 |
오대백간[烏臺白簡]~오대부송[五大夫松]~오대신산[鼇戴神山] (0) | 2019.06.07 |
오기[五技]~오기어[吾其魚]~오기종[吳起踵]~오농[吳儂] (0) | 2019.06.05 |
오궁[五窮]~오궤[烏几]~오귀[五鬼]~오극[鰲極]~오극삼조[五劇三條] (0) | 2019.06.04 |
오구[吳鉤]~오구[隩區]~오구수왕[吾丘壽王]~오국지고수[五國之孤囚] (0) | 2019.06.03 |
오곡불능분[五穀不能分]~오골[傲骨]~오관산곡[五冠山曲]~오교[五交] (0) | 2019.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