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예장[豫樟]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인 녹나무이다. 술이기(述異記)예장은 7년을 자라야 알아볼 수 있다. 한 무제(漢武帝) 보정(寶鼎) 2년에 예장관(豫樟官)을 설치하고 곤명지(昆明池) 가운데에 예장전(豫樟殿)을 건축하였다.”고 하였다.

예장[豫章] 녹나무의 일종. 천하에 이름 높은 재목으로 일컬어진다. 산해경(山海經) ()예장(豫章)은 큰 나무인데 추()와 같다.”라고 하였다.

예장[豫章] 침목(枕木)과 장목(樟木)의 병칭으로, 흔히 동량지재(棟梁之材)로 쓰이는 거목이다.

예장유자[豫章孺子] 유자(孺子)는 후한(後漢) 서치(徐穉)의 자()이다. 벼슬에 응하지 않고 남주(南州)의 고사(高士)로 일컬어졌으며, 태수(太守) 진번(陳蕃)으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았는데, 그의 고향이 바로 예장(豫章)의 남창(南昌)이다. <後漢書 卷84>

예장천심죽전조[豫章千尋竹箭稠] ()은 대죽(大竹), ()은 소죽(小竹)으로서 즉 대소(大小)의 인재들이 천하의 명목(名木)인 예장(豫章)처럼 길러지고 있다는 말이다.

예정[霓旌] 오색 깃털로 만든 깃발로, 천자(天子)의 의장(儀仗) 가운데 하나이다.

예정리[曳鄭履] 한 애제(漢哀帝) 때 상서복야(尙書僕射) 정숭(鄭崇)이 직간을 잘하기로 유명했는데, 그는 임금을 뵈러 대궐을 들어갈 때마다 가죽신을 끌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漢書 卷七十七>

예좌[猊座] 부처를 가리킨다. 부처는 사람 가운데 지극히 높은 존재라 하여 백수(百獸)의 왕()인 사자(獅子)에게 비유하여 이른 말이다.

예좌[猊座] 사자 모양으로 만든 불좌(佛座), 부처나 고승(高僧)이 앉는 자리를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