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영로[郢路] 영도로 가는 길.
❏ 영록주[酃醁酒] 중국 형양현(衡陽縣) 동쪽에 있는 영호(酃湖)의 물로 빚은 미주(美酒)의 이름이다.
❏ 영롱팔창[玲瓏八窓] 당(唐) 나라 노륜(盧綸)의 시 ‘부득팽조루송양덕종귀서주막(賦得彭祖樓送楊德宗歸徐州幕)’에 “네 개의 문에 여덟 개의 창 어찌 밝은지, 영롱해라 하늘 기운 그대로 쏟아져 들어오네.[四戶八窓明 玲瓏逼上淸]”라는 표현이 있다.
❏ 영류[零柳] 체질이 매우 유약함을 비유한 말이다. 진(晉) 나라 때 고열(顧悅)이 간문제(簡文帝)와 같은 나이로 머리가 일찍 희었으므로, 간문제가 이르기를 “경이 어찌하여 먼저 희었는고?” 하니, 고열이 대답하기를 “포류(蒲柳)의 자질은 가을을 바라만 보고도 잎이 먼저 머리가 떨어지는 것입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言語>
❏ 영륜[伶倫] 황제(黃帝) 때의 악관(樂官)으로 대피리[竹笛]의 명수이다. 곤륜산(崑崙山)의 대나무를 가져다가 처음으로 악률(樂律)을 만들었다고 한다.
❏ 영릉[零陵] 진 공제(晉恭帝)를 말한다. 유유(劉裕)가 원희(元熙) 원년에 공제를 폐하여 영릉왕으로 삼았다가 그 다음해에는 마침내 공제를 시해하고 제위(帝位)를 찬탈하여 국호를 송(宋)으로 했었다.
❏ 영릉[零陵] 순(舜) 임금을 장사 지냈다는 중국의 옛 지명이다.
❏ 영릉[永陵] 영조(英祖)의 아들인 경의군(敬義君)의 묘. 후에 진종(眞宗)으로 추존되었다.
❏ 영릉[英陵] 우리나라 세종대왕을 말한다.
❏ 영릉[零陵] 호남성(湖南省)에 있는 지명으로 창오산(蒼梧山)과 소상강이 있다. 그곳에서 석종유가 나온다.
❏ 영릉복유[零陵復乳] 없어졌다고 한 것이 다시 생겨남. 영릉(零陵)에서 생산되는 석종유(石鍾乳)를 공물(貢物)로 바치는데, 그것을 채취하기가 너무 힘이 들고 게다가 정당한 보상도 없이 괴롭기만 하여 지방민들이 석종유가 다 없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 최민(崔敏)이 자사(刺史)로 와서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은 그에 감복하여, 석종유가 이제 다시 생겨났다고 하였다는 것이다. <유종원(柳宗元)의 영릉복유혈기(零陵復乳穴記)>
❏ 영릉유혈[零陵乳穴] 국가에서 뇌록을 공물(貢物)로 책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백성들이 시달림을 받지 않고 뇌록은 뇌록대로 흥청망청 있음. 중국 영주(永州) 영릉현(零陵縣)에서 석종유(石鍾乳)가 생산되는데, 국가에서는 그것을 공물로 받았기 때문에 해마다 힘들여 그것을 채취하고서도 별 보상도 받지 못한 지방민들이 그에 싫증을 느끼고는 그곳 석종유가 이제 바닥이 나고 없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다가 그 후 5년이 지나서 최민(崔敏)이 영주 자사(永州刺史)로 부임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자 그곳 백성들이, 이제 석종유가 되살아났다고 보고하였다는 것이다. <유종원(柳宗元)의 영릉복유혈기(零陵復乳穴記)>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석[英石]~영설[映雪]~영수[靈壽]~영수[潁水] (0) | 2019.04.16 |
---|---|
영서[靈犀]~영서연설[郢書燕說]~영서점[靈犀點] (0) | 2019.04.15 |
영사[靈槎]~영산친수촉[靈山親受囑]~영산회[靈山會]~영색[鈴索] (0) | 2019.04.12 |
영백사정[令伯私情]~영벽[瓴甓]~영분[靈氛]~영빈재[詠蘋才] (0) | 2019.04.08 |
영매[嶺梅]~영매[迎梅]~영무우[寧武憂]~영미전[潁尾田] (0) | 2019.04.01 |
영랑술랑[永郞述郞]~영려상승[嬴呂相承]~영령성악강[英靈星岳降] (0) | 2019.03.18 |
영근[郢斤]~영단양주[靈丹良疇]~영대[靈臺]~영대영소[靈臺靈沼] (0) | 2019.03.11 |
영균구가[靈均九歌]~영균손국[靈均飱菊]~영균철패[靈均綴佩] (0) | 2019.03.04 |
영광[靈光]~영구[靈龜]~영구[營丘]~영구사퇴고[寧久事推敲] (0) | 2019.02.25 |
영고반[詠考槃]~영과[靈瓜]~영과행험[盈科行險]~영관[伶官] (0) | 2019.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