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영궁[靈宮] 선인(仙人)의 궁전(宮殿)이란 뜻으로, 산의 승경(勝景)을 의미한다.
❏ 영균[靈均] 영균은 초(楚) 회왕(楚懷王) 때의 충신 굴원(屈原)의 자이다. 그는 충성스럽고 깨끗하였으나 회왕이 멀리하자 이소경(離騷經)을 지었으며, 뒤에 참소를 받아 귀양갔다가 멱라수(汨邏水)에 빠져 죽었다. <史記 卷八十四 屈原傳>
❏ 영균구가[靈均九歌] 초(楚)의 굴원(屈原)이 내쫓김을 당한 뒤 동황태일(東皇太一)・운중군(雲中君)・상부인(湘夫人) 등 구변의 노래를 지어 불렀다. 영균(靈均)은 굴원의 자(字)이다. <楚辭 九歌>
❏ 영균부[靈均賦] 영균은 초(楚) 나라 대부 굴원(屈原)의 자이다. 그가 지은 이소경(離騷經)을 말한다.
❏ 영균사[靈均詞] 난세(亂世)를 탄식하며 함께 시를 읊어 회포를 풀었다는 말이다. 영균(靈均)은 초 나라 굴원(屈原)의 호인데, 그가 지은 ‘어부사(漁父辭)’에 “游於江潭 行吟澤畔”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 영균손국[靈均飱菊] 영균은 굴평(屈平)의 자, 이소경(離騷經)에 저녁에는 국화의 떨어진 꽃을 먹는다는 말이 있다.
❏ 영균원폐현[靈均怨蔽賢] 영균은 초 회왕(楚懷王) 때의 충신 굴원(屈原)의 자인데, 그는 소인의 참소에 의해 쫓겨난 뒤, 그에 대한 우사 번민(憂思煩悶)을 견디지 못하여 끝내 자살하고 말았으므로 이른 말이다.
❏ 영균철패[靈均綴佩] 영균(靈均)은 전국 시대 초(楚) 나라 굴원(屈原)의 호이다. 회왕(懷王) 때 삼려대부(三閭大夫)가 되어 국정(國政)을 행하였는데, 다른 대부의 투기를 받아 신임을 잃자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왕의 마음을 돌리려 하였으며, 회왕의 아들 양왕(襄王) 때에 이르러 참소를 받고 장사(長沙)로 옮겨지자 어부(漁父) 등 제편(諸篇)을 지은 뒤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였다. 이소경에 “가을 난초를 매달아 허리에 찬다”라고 했는데, 이는 향기로운 물건을 지님으로써 자신을 깨끗이 하는 뜻이 있다. <史記 卷84>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백사정[令伯私情]~영벽[瓴甓]~영분[靈氛]~영빈재[詠蘋才] (0) | 2019.04.08 |
---|---|
영매[嶺梅]~영매[迎梅]~영무우[寧武憂]~영미전[潁尾田] (0) | 2019.04.01 |
영롱팔창[玲瓏八窓]~영류[零柳]~영릉복유[零陵復乳]~영릉유혈[零陵乳穴] (0) | 2019.03.25 |
영랑술랑[永郞述郞]~영려상승[嬴呂相承]~영령성악강[英靈星岳降] (0) | 2019.03.18 |
영근[郢斤]~영단양주[靈丹良疇]~영대[靈臺]~영대영소[靈臺靈沼] (0) | 2019.03.11 |
영광[靈光]~영구[靈龜]~영구[營丘]~영구사퇴고[寧久事推敲] (0) | 2019.02.25 |
영고반[詠考槃]~영과[靈瓜]~영과행험[盈科行險]~영관[伶官] (0) | 2019.02.18 |
영객가[郢客歌]~영겸[盈謙]~영계삼락[榮啓三樂] (0) | 2019.02.11 |
영가[永嘉]~영가산수[永嘉山水]~영각[鈴閣] (0) | 2019.02.07 |
엽고[獵鼓]~엽공지룡[葉公之龍]~엽교[獵較] (0)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