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양의[兩儀] 양의는 음·양을 말한다.
❏ 양이[量移] 양이는 귀양간 사람을 조금 나은 곳으로 작량(酌量)하여 옮겨 주는 것이다.
❏ 양임하[楊臨賀] 당(唐) 나라 때 임하(臨賀)의 위(尉)로 쫓겨 나간 양빙(楊憑)을 가리킨다. 자기에게 누(累)가 돌아올까 봐 친우들이 하나도 위문하지 않는 가운데, 오직 서회(徐晦)만이 전별(餞別)하였는데, 이에 “포의(布衣) 때의 지기(知己)인 양 임하를 저버리지 않았으니, 국가를 어찌 저버리겠는가.” 하는 평을 받고서 감찰어사가 되었던 고사가 있다.<舊唐書 卷165> 소식(蘇軾)의 시에 “당시에 전송한 사람 없었던 양 임하요, 지금도 조주의 사당에서 제사 받드는 한퇴지(韓退之)로다.[當日無人送臨賀 至今有廟祀潮州]”라는 구절이 있다.<蘇東坡詩集 卷44 過嶺>
❏ 양자[陽子] 백락(伯樂)의 별칭이다.
❏ 양자[揚子] 한(漢) 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웅(揚雄)을 말한다. 성선악혼합설(性善惡混合說)을 제창하였다.
❏ 양자강[揚子江] 티베트 고원의 북동부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흘러 들어간다. 장강(長江)이라고도 불린다.
❏ 양자력[量自力] 자기 자신의 능력의 정도는 자신만이 안다는 의미이다. 어떤 일을 마음이 곧고 충실하게 탐구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 양자루[羊子淚] 진(晉) 나라 양담(羊曇)이 은인인 사안(謝安)이 죽은 뒤 생전에 그가 지나다니던 서주문(西州門)을 통과하지 않다가 술이 크게 취하여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 문 앞에 이르러서는, 조자건(曹子建)이 지은 “살아서는 화려한 집거하시더니, 나뭇잎 떨어지듯 산언덕 돌아갔네.[生存華屋處 零落歸山丘]”라는 시를 읊고 대성통곡했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謝安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주기학[揚州騎鶴]~양주루수[楊朱淚垂]~양주일몽[揚州一夢] (0) | 2017.06.19 |
---|---|
양조묘[楊照廟]~양주가학[楊州駕鶴]~양주기로[楊朱岐路] (0) | 2017.06.16 |
양적[陽翟]~양전주명이철곤[陽轉朱明已徹坤]~양제주불유[梁鵜咮不濡] (0) | 2017.06.15 |
양장구곡[羊腸九曲]~양재지종[良才之種]~양저마우간불변[兩渚馬牛看不辨] (0) | 2017.06.14 |
양자문장도이소[楊子文章道已疎]~양자토봉[楊子吐鳳]~양장[羊腸] (0) | 2017.06.13 |
양원수간[梁園授簡]~양월[良月]~양유기[養由基] (0) | 2017.06.09 |
양원[梁園]~양원동설[梁園同雪]~양원사인편[楊園寺人篇] (0) | 2017.06.08 |
양운부부가[楊惲拊缶歌]~양웅인각송[楊雄麟閣頌]~양웅택[揚雄宅] (0) | 2017.06.07 |
양오[兩螯]~양옥[梁獄]~양왕[襄王]~양왕일몽[襄王一夢] (0) | 2017.06.05 |
양양자시무지기[襄陽自是無知己]~양억[楊億]~양영몽[兩楹夢] (0) | 201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