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양의[兩儀] 양의는 음·양을 말한다.

양이[量移] 양이는 귀양간 사람을 조금 나은 곳으로 작량(酌量)하여 옮겨 주는 것이다.

양임하[楊臨賀] () 나라 때 임하(臨賀)의 위()로 쫓겨 나간 양빙(楊憑)을 가리킨다. 자기에게 누()가 돌아올까 봐 친우들이 하나도 위문하지 않는 가운데, 오직 서회(徐晦)만이 전별(餞別)하였는데, 이에 포의(布衣) 때의 지기(知己)인 양 임하를 저버리지 않았으니, 국가를 어찌 저버리겠는가.” 하는 평을 받고서 감찰어사가 되었던 고사가 있다.<舊唐書 卷165> 소식(蘇軾)의 시에 당시에 전송한 사람 없었던 양 임하요, 지금도 조주의 사당에서 제사 받드는 한퇴지(韓退之)로다.[當日無人送臨賀 至今有廟祀潮州]”라는 구절이 있다.<蘇東坡詩集 卷44 過嶺>

양자[陽子] 백락(伯樂)의 별칭이다.

양자[揚子] () 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웅(揚雄)을 말한다. 성선악혼합설(性善惡混合說)을 제창하였다.

양자강[揚子江] 티베트 고원의 북동부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흘러 들어간다. 장강(長江)이라고도 불린다.

양자력[量自力] 자기 자신의 능력의 정도는 자신만이 안다는 의미이다. 어떤 일을 마음이 곧고 충실하게 탐구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양자루[羊子淚] () 나라 양담(羊曇)이 은인인 사안(謝安)이 죽은 뒤 생전에 그가 지나다니던 서주문(西州門)을 통과하지 않다가 술이 크게 취하여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 문 앞에 이르러서는, 조자건(曹子建)이 지은 살아서는 화려한 집거하시더니, 나뭇잎 떨어지듯 산언덕 돌아갔네.[生存華屋處 零落歸山丘]”라는 시를 읊고 대성통곡했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謝安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