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양적[陽翟] 양적은 양적대고(陽翟大賈) 여불위(呂不韋)를 가리킨 것으로, 전하여 여불위의 저서인 여씨춘추(呂氏春秋)를 말한다.
❏ 양적공[攘狄功] 공자가 춘추(春秋)를 지어 주(周) 나라를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쳤음을 말한다.
❏ 양전[兩殿] 시부모를 말한다.
❏ 양전[壤奠] 토산물을 공물(貢物)로 바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양전주명이철곤[陽轉朱明已徹坤] 뜨거운 여름철을 표현한 말이다. 두보(杜甫)의 시 ‘하일탄(夏日歎)’에 “붉은 태양 두터운 대지 위에 깔렸나니, 답답해라 이 한증막 어떻게 벗어날꼬.[朱光徹厚地 鬱蒸何由開]”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7>
❏ 양절[襄節] 양절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명 성조(明成祖)의 처남이기도 한 한확(韓確)의 시호이다.
❏ 양제[煬帝] 수(隋) 나라 제2대 임금 양광(楊廣)의 시호이다.
❏ 양제[楊濟] 양준(楊駿)의 동생으로 자는 문통(文通)이다.
❏ 양제[羊蹄] 일명 우설채(牛舌菜)라고도 하는 풀 이름이다.
❏ 양제금범[煬帝錦帆] 수 양제가 배 타고 운하(運河)를 거쳐 강도(江都)에 놀러 갈 때 비단돛을 달고 흥청댔다 한다.
❏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수 양제가 주색(酒色)에 빠져 강도(江都)에 순항하여 유련(留連)하다가 변하(汴河)에서 우문화급(宇文化及)에게 시해(弑害)되었다.
❏ 양제주불유[梁鵜咮不濡] 소인(小人)이 조정에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시경(詩經) 조풍 후인(曹風 候人)에 “어살에 있는 사다새 부리도 젖지 않았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지[兩地]~양지삼천[兩地參天]~양지양능[良知良能] (0) | 2017.06.22 |
---|---|
양중[兩中]~양중경[羊仲逕]~양중빈래송경숙[羊仲頻來松逕熟] (0) | 2017.06.21 |
양주전학[揚州錢鶴]~양주청루몽[揚州靑樓夢]~양주학[揚州鶴] (0) | 2017.06.20 |
양주기학[揚州騎鶴]~양주루수[楊朱淚垂]~양주일몽[揚州一夢] (0) | 2017.06.19 |
양조묘[楊照廟]~양주가학[楊州駕鶴]~양주기로[楊朱岐路] (0) | 2017.06.16 |
양장구곡[羊腸九曲]~양재지종[良才之種]~양저마우간불변[兩渚馬牛看不辨] (0) | 2017.06.14 |
양자문장도이소[楊子文章道已疎]~양자토봉[楊子吐鳳]~양장[羊腸] (0) | 2017.06.13 |
양이[量移]~양자[揚子]~양자루[羊子淚] (0) | 2017.06.12 |
양원수간[梁園授簡]~양월[良月]~양유기[養由基] (0) | 2017.06.09 |
양원[梁園]~양원동설[梁園同雪]~양원사인편[楊園寺人篇] (0) | 2017.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