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십이제[十二齊] 전국 시대 진(秦) 나라의 함곡관은 워낙 지형이 험하여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성으로 유명하였으며 제(齊) 나라 역시 멀리 떨어져 있고 땅이 비옥하여 공격하기 어려운 나라로 일컬어졌다. 사기(史記) 한고조기(漢高祖紀)에 “진 나라는 백이(百二)를 얻었고 제 나라는 십이(十二)를 얻었다.” 한 말이 있는데, 이는 진 나라 지형은 두 명이 적병 백 명을 당할 수 있고 제 나라는 적병 열 명을 당할 수 있다는 뜻이다.
❏ 십이지지[十二地支]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戍)·해(亥).
❏ 십이진[十二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말하는데, 이 시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쥐[鼠], 소[牛], 범[虎], 토끼[兎], 용(龍), 뱀[蛇], 말[馬], 양(羊), 잔나비[猿], 닭[鷄], 개[狗], 돼지[猪]가 차례로 등장한다.
❏ 십이천[十二天] 불교에서 말하는 범천(梵天), 지천(地天), 월천(月天), 일천(日天), 제석천(帝釋天), 화천(火天), 도마천(熖摩天), 나찰천(羅刹天), 수천(水天), 풍천(豐天), 비사문천(毘沙門天), 대자재천(大自在天)을 말한다.
❏ 십일모[什一謀] 십일의 계책이란 곧 장삿군이 십분지일(什分之一)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이르는데, 남조 송(南朝宋) 때에 유백룡(劉伯龍)이 워낙 빈궁하였으므로, 한번은 식구들을 불러놓고 장차 장사를 해볼 계책을 하였더니, 한 귀신이 곁에서 손뼉을 치며 껄껄 웃었다. 그러자 유백룡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빈궁한 것도 본디 운명인 것인데, 공연히 귀신에게 비웃음만 받았구나.” 하고는 그 계책을 그만두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 십일정민[什一征民] 십일세. 삼대(三代) 때 농경지(農耕地)에 적용한 정전법(井田法)에서 수입의 십분의 일을 조세(租稅)로 국가에 납부하던 제도를 말한다.
❏ 십일지국[十日之菊] 국화는 9월 9일이 그 절정이므로 이미 때가 늦었다는 뜻. 또는 국화는 핀 지 9일 되는 날이 절정이므로 이미 때가 늦었다는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룡검[雙龍劍]~쌍륙몽[雙陸夢]~쌍리어[雙鯉魚] (0) | 2016.12.26 |
---|---|
쌍궐풍운[雙闕風雲]~쌍기[雙冀]~쌍남금[雙南金] (0) | 2016.12.23 |
쌍각반룡[雙角盤龍]~쌍검합[雙劍合]~쌍검회중연[雙劍會重淵] (0) | 2016.12.22 |
십팔기[十八技]~십팔학사[十八學士]~십홀방[十笏房] (0) | 2016.12.21 |
십전[十銓]~십전구도[十顚九倒]~십칠잔편[十七殘篇] (0) | 2016.12.20 |
십이루[十二樓]~십이만구천륙백[十二萬九千六百]~십이신장[十二神將] (0) | 2016.12.16 |
십실전성양[十室專城養]~십이경루[十二瓊樓]~십이도[十二徒] (0) | 2016.12.15 |
십보방초[十步芳草]~십삼십일두[十三十一頭]~십시일반[十匙一飯] (0) | 2016.12.13 |
십동[十桐]~십리지혹[十吏之酷]~십묘지[十畝地] (0) | 2016.12.12 |
십고십상[十考十上]~십년한창[十年寒窓]~십년훈유[十年薰蕕] (0) |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