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신교[神交] 정신적으로 사귀는 것. 피차 이름만 듣고 직접 만나지 못한 채 서신 따위로 교분을 맺는 것을 말한다.
❏ 신교유복호[神交游濮濠] 속세를 떠나 자연에 동화된 상태의 차원 높은 교분을 나누자는 뜻이다.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초왕(楚王)의 사신을 물리치고 복수에서 낚시를 했던 장자의 고사와 친구 혜시(惠施)와 함께 호량(濠梁) 위에서 물고기의 뛰노는 것을 즐겼던 장자의 고사가 실려 있다.
❏ 신구[汛口] 우리 나라 사신이 바닷길로 해서 중국에 갈 때 거치는 포구(浦口)의 이름이다.
❏ 신구서[新舊書] 신당서(新唐書)와 구당서(舊唐書)를 가리킨다.
❏ 신국[信國] 신국은 송(宋) 나라의 충신 문천상(文天祥)의 봉호(封號)이다.
❏ 신국풍첨독서의[信國風簷讀書意] 송(宋) 나라의 충신 문천상(文天祥)이 원(元) 나라에 잡혀가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의 맨 마지막에 “바람 부는 처마에서 책을 펼치고 읽노라니, 옛날 어른들 행한 도가 나의 얼굴을 비춰 주네.[風簷展書讀古道照顔色]”라는 구절이 나온다. 신국(信國)은 문천상의 봉호(封號)이다.
❏ 신군[神君] 도가(道家)의 신(神)을 말한다. <史記 封禪書>
❏ 신군[神君] 현명한 지방관(地方官)의 미칭(美稱)으로 쓰이는 말이다.
❏ 신군강원약[神君降宛若] 사기(史記) 효무본기(孝武本紀)에 “신군(神君)은 장릉(長陵)에 사는 여인이었는데, 그 아들의 죽음을 너무 슬퍼하다가 죽어서 동서인 원약(宛若)에게 귀신으로 나타났다. 이에 원약이 집에다 사당을 짓고 모시자 백성들이 그 집에 가서 제사를 올렸는데, 한 무제가 신군을 데려다 상림원 속의 제씨관(蹄氏觀)에 모시도록 하였다.”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필변[迅雷必變]~신룡검화진[神龍劒化津]~신루[蜃樓] (0) | 2016.11.01 |
---|---|
신도반[申屠蟠]~신도수옥[申屠樹屋]~신도월[申屠刖] (0) | 2016.10.31 |
신누일과홍수평[神累一過洪水平]~신단재장[身短才長]~신도[新都] (0) | 2016.10.28 |
신기[蜃氣]~신기혹취부[神奇或臭腐]~신내폐외[愼內閉外] (0) | 2016.10.27 |
신귀[新鬼]~신귀본자수유골[神龜本自愁留骨]~신급돈어[信及豚魚] (0) | 2016.10.26 |
신고[神皐]~신고송한궁[辛苦送韓窮]~신공[申公] (0) | 2016.10.24 |
신가항만지유함[信可行蠻只有諴]~신각[申恪]~신계부긍명[晨鷄不肯鳴] (0) | 2016.10.21 |
식형주[識荊州]~식형지원[識荊之願]~식회[植檜] (0) | 2016.10.20 |
식차거[識硨磲]~식초우[食草愚]~식토용건[拭吐龍巾]~식평[食苹] (0) | 2016.10.19 |
식장[植杖]~식장구[食場駒]~식재[息齋]~식지동[食指動]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