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수릉보[壽陵步] 한단학보(邯鄲學步)의 고사로서 새로운 것을 제대로 익히지도 못한 채 기왕에 자신에게 있었던 기예마저도 잃어버리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추수(秋水)그대는 듣지 못했는가. 저 수릉 땅의 미성년자가 한단에 와서 걸음걸이를 배우려 했던 일을 말일세. 한단의 걸음도 배우지 못한 채 옛날의 걸음마까지 잃어버렸다네그려.”라고 하였다.

수마[數馬] 아주 근신(謹愼)한 것을 뜻한다. () 나라 때 만석군(萬石君) 석분(石奮)의 아들 석경(石慶)이 태복(太僕)이 되어 육마(六馬)를 어거하고 나갔는데, ()이 그에게 수레에 채운 말이 모두 몇 마리냐고 묻자, 석경이 채찍으로 말의 수를 하나하나 세어, 여섯 마리라고 대답한 데서 온 말이다. 즉 말 여섯 마리 정도는 세보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이었지만 그토록 신중을 기했다는 것이다.

수마시[瘦馬詩] () 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양수마(養瘦馬) 시를 이른다.

수마제[數馬蹄] 한비자(韓非子)초 장왕(楚莊王)이 궁문(宮門)의 출입을 규제하여 군신(群臣대부(大夫)와 여러 공자들이 입조할 때 말발굽소리가 처마밑[]까지 들리게 되면 정리(廷理)가 수레채[]를 자르고 마부를 베었다.”라고 하였다.

수망[輸芒] 바다에 떠내려가는 벼 까끄라기를 게[]가 먹어야 독이 없어진다 한다. ()의 풍속에서, 게가 음력 8, 즉 벼가 익을 때에 미쳐 벼이삭 하나를 가져다가 그들의 괴수(魁首)에게 바친다는 것을 이르는데, 그리고 난 다음에야 게를 먹을 수 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