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소반[蔬飯] 변변하지 못한 음식. 고기 반찬이 없는 밥을 이른다.
❏ 소발[召茇] 소발은 소공(召公)이 임시 머문 집. 문왕 때에 주공은 안에서 일을 하고 소공은 밖에서 일을 하며 문왕의 덕화를 펴게 했다. 그래서 소공이 임시 쉬어간 곳도 함부로 하지 말라는 시가 있다. <詩傳 召南 甘棠>
❏ 소백[召伯] 소백(召伯)은 본시 연(燕) 나라에 처음 봉한 소공(召公)을 말하는 것이다.
❏ 소백당[召伯棠] 소백의 감당(甘棠)나무. 주(周) 나라 소공 석(召公奭)이 순행(巡行)하던 중 마침 농번기를 맞자 마을로 들어가지 않고 감당나무 아래에서 정사를 처리하는 등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므로, 백성들이 감당나무를 베지 않고 기념하며 노래를 지어 불렀다는 고사가 전한다. <詩經 召南 甘棠>
❏ 소백온[邵伯溫] 송 휘종(宋徽宗) 때 사람. 소옹(邵雍)의 아들로 자는 자문(子文). 저서에는 역변혹(易辨惑)·하남집(河南集)·견문록(見聞錄) 등이 있다.
❏ 소범[小范] 소범은 송(宋) 나라 때 범옹(范雍)을 대범(大范)이라 일컫는 데에 대하여 범중엄(范仲淹)을 일컬은 말인데, 범중엄이 일찍이 서하(西夏) 지역을 수어(守禦)할 적에 하인(夏人)들이 말하기를 “소범로자(小范老子)는 가슴속에 수만의 갑병(甲兵)이 들어 있으므로, 속일 수 있는 대범로자(大范老子)와 비할 바가 아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소범흉[小范胸] 소범(小范)은 송(宋) 나라 때 범옹(范雍)을 대범(大范)이라고 한 데 대하여 범중엄(范仲淹)을 일컫는 말인데, 범중엄이 수년 동안 변방을 지킬 적에 특히 하인(夏人)들이 서로 경계하여 침범하지 않으면서 “소범로자(小范老子)의 가슴속에는 수만의 갑병(甲兵)이 들어 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宋史 卷三百十四>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산송계감초은[小山松桂堪招隱]~소산옹[笑筭甕]~소산초[小山招] (0) | 2016.04.25 |
---|---|
소사변[素絲變]~소사전[素沙戰]~소산곡[小山曲] (0) | 2016.04.25 |
소비[梳篦]~소사루[蕭史樓]~소사명[少司命] (0) | 2016.04.22 |
소부귀녕타녀교[少婦歸寧奼女嬌]~소부환경경[蘇婦喚卿卿]~소불[燒佛] (0) | 2016.04.22 |
소보[巢父]~소보세이[巢父洗耳]~소봉[召封] (0) | 2016.04.22 |
소미서[少微書]~소미정광운[少微精光隕]~소미회[燒尾會] (0) | 2016.04.21 |
소문장소[蘇門長嘯]~소문휴성[昭文虧成]~소미[少微] (0) | 2016.04.21 |
소무탈신기[小巫奪神氣]~소문고금[昭文鼓琴]~소문불고금[昭文不鼓琴] (0) | 2016.04.20 |
소무설[蘇武雪]~소무이릉[蘇武李陵]~소무절모[蘇武節旄] (0) | 2016.04.20 |
소무[蘇武]~소무간양[蘇武看羊]~소무내이대무외[小無內而大無外] (0) | 2016.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