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소무탈신기[小巫奪神氣] 미숙한 무당이 노련한 무당을 만나면 자신의 미숙함을 실망하여 띠를 뽑아[拔茅]버린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학문과 기예의 미숙한 자가 노련한 자를 보고는 자신에 대하여 실망감을 갖게 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소문[昭文] 거문고의 명수이다.
❏ 소문[蘇文] 고구려(高句麗)의 연개소문(淵蓋蘇文)을 말한다.
❏ 소문[少文] 남조 송(南朝宋)의 은사(隱士)로 금(琴)·서(書)·화(畫)에 뛰어났던 종병(宗炳)의 자(字)이다. 노장학(老莊學)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衡山)에 은거하면서 고조(高祖)의 부름에도 응하지 않고 산수를 좋아하여 승경(勝景)을 찾아다니다가 병으로 강릉(江陵)에 돌아와 누운 뒤 그동안 유람했던 곳의 경치를 그림으로 그려 방 안에 걸어 놓고 감상했던 고사가 전한다. <宋書 宗炳傳>
❏ 소문[召文] 의성(義城)의 고호이다.
❏ 소문고금[昭文鼓琴] 마진(馬臻)의 시에 “마음껏 소문 거문고 두들기네[任鼓昭文琴]”라 하였다.
❏ 소문금[昭文琴] 소문(昭文)의 거문고. 소문은 고대 중국의 거문고를 잘 타던 사람이다. <莊子 大宗師>
❏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웃는 집에 온갖 복이 온다.
❏ 소문불고금[昭文不鼓琴] 모든 것이 다 끝나 이미 체념 상태에 들어간 것을 말한다. 여기 소문(昭文)은 왕휘지(王徽之)인데, 휘지가 자기 아우 헌지(獻之)가 죽었을 때 곧바로 그의 영상(靈牀)에 앉아서 헌지의 거문고를 들고 뜯었으나 곡조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휘지는 탄식을 하면서 “아! 자경(子敬)아, 거문고도 사람 따라 가버렸구나.”하고는 이어 기절하였다고 한다. <晉書 卷八十>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부귀녕타녀교[少婦歸寧奼女嬌]~소부환경경[蘇婦喚卿卿]~소불[燒佛] (0) | 2016.04.22 |
---|---|
소보[巢父]~소보세이[巢父洗耳]~소봉[召封] (0) | 2016.04.22 |
소발[召茇]~소백당[召伯棠]~소범흉[小范胸] (0) | 2016.04.21 |
소미서[少微書]~소미정광운[少微精光隕]~소미회[燒尾會] (0) | 2016.04.21 |
소문장소[蘇門長嘯]~소문휴성[昭文虧成]~소미[少微] (0) | 2016.04.21 |
소무설[蘇武雪]~소무이릉[蘇武李陵]~소무절모[蘇武節旄] (0) | 2016.04.20 |
소무[蘇武]~소무간양[蘇武看羊]~소무내이대무외[小無內而大無外] (0) | 2016.04.20 |
소멸천친[劭蔑天親]~소모[小毛]~소목[昭穆] (0) | 2016.04.19 |
소만[小蠻]~소만요[小蠻腰]~소매희[笑罵嬉]~소멱[素簚] (0) | 2016.04.19 |
소리장군[小李將軍]~소림면벽[少林面壁]~소림일지[巢林一枝] (0) | 2016.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