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선명[先鳴] 먼저 공을 세워 두각을 나타냈다는 말이다. 춘추 시대 진(晉) 나라 주작(州綽)이 제(齊) 나라와의 평음(平陰) 싸움에서 식작(殖綽)과 곽최(郭最)보다 앞서서 성(城)에 올라 닭이 울듯 크게 소리쳤다[平陰之役 先二子鳴]는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春秋左傳 襄公 21年>
❏ 선명도[蟬鳴稻] 올벼[早稻]의 별칭이다. 고려 때 이규보(李奎報)의 시(詩)에 “그 이름 어기지 않으려고 매미 우는 때를 기약했네. 눈으로 직접 새 곡식 보니 금년 일도 다했나 보구려.[不欲負其名 趁得蟬鳴時 眼見新穀升 今年事亦畢]”라고 하였다.
❏ 선모[旋毛] 말의 털결이 선회한 모양으로 된 것이다. 이아 주(爾雅 注)에 “선모가 배 아래에 젖꼭지처럼 나면 천리마이다.”라고 하였다.
❏ 선묘실록[宣廟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을 말한다. 선조수정실록은 광해군 때 북인(北人)인 기자헌(奇自獻),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하여 편찬된 선조실록의 내용이 공정치 못하다고 하여 인조 19년에 이식(李植)의 상소에 의하여 수정실록을 편찬하기로 결정하고 이식이 전담하여 편찬하였으나 이식이 다른 일로 파면되어 중단되었다. 그 뒤 효종 8년 3월에 수정실록청을 설치하고 김육(金堉), 윤순지(尹順之), 이일상(李一相), 채유후(蔡裕後) 등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하여 그해 9월에 완성을 보았다.
❏ 선문[羨門] 옛 선인(仙人)으로 이름은 자고(子高)이다. 전한서(前漢書)에 “시황(始皇)이 동으로 노닐면서 신선(神仙) 선문(羨門)의 무리를 구했다.”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성부해[宣聖浮海]~선소패[宣召牌]~선승비응[禪僧飛鷹] (0) | 2016.03.07 |
---|---|
선사애세망[先師隘世網]~선삼린대[蟬衫麟帶]~선성[宣聖] (0) | 2016.03.07 |
선부승이불구[鮮負乘而不寇]~선불당[選佛堂]~선사난반[仙槎難攀] (0) | 2016.03.07 |
선백약[宣伯藥]~선복구창[蟬腹龜脹]~선부[仙鳧] (0) | 2016.03.04 |
선문비침[扇蚊飛枕]~선발제인[先發制人]~선방궁[宣房宮] (0) | 2016.03.04 |
선리조화만갱번[仙李條華晩更繁]~선림[禪林]~선말[仙襪] (0) | 2016.03.03 |
선등폐소림[禪燈廢少林]~선로[宣罏]~선리운손[仙李雲孫] (0) | 2016.03.03 |
선니호향[宣尼互鄕]~선단[善端]~선도[仙桃] (0) | 2016.03.03 |
선기능개석[先幾能介石]~선기제정[璿璣齊政]~선니칭부운[宣尼稱浮雲] (0) | 2016.03.02 |
선극유종[鮮克有終]~선기[禪機]~선기[璇璣] (0) | 201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