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삼정[三庭] 도교(道敎)의 용어로, 황정궁(黃庭宮)의 3개 부위 즉 뇌(腦), 심(心), 비(脾)를 말한다.
❏ 삼정[三鼎] 돈정(豚鼎)·어정(魚鼎)·석정(腊鼎)을 말한다. 의례(儀禮)의 사혼례(士昏禮)와 사우례(士虞禮)에 “삼정(三鼎)을 차려 놓는다.”고 하였다.
❏ 삼정[三亭] 위나라 변경에 있었던 역참이다.
❏ 삼정[三精] 해·달·별. 후한서(後漢書) 광무제기 찬(光武帝紀贊)에 “구현에 회오리바람이 일고 삼정은 안개가 끼어 깜깜하였다.[九縣飆廻三精霧塞]”고 하였다.
❏ 삼정[三庭]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에 “내경(內景), 외경(外景), 중경(中景)의 황정(黃庭)에서 자라는 가곡(嘉穀)에 황명(蝗螟)이 발생한다.”라는 말이 있다. 삼정(三庭)은 바로 황정(黃庭)이다.
❏ 삼정촉[三丁燭] 보통 촛불 세 자루를 가지면 하룻밤을 난다고 한다.
❏ 삼조[三條] 공경(公卿)들이 왕께 올리는 중요한 진언(進言). 북조(北朝) 위문제(魏文帝)가 공경들에게 달마다 봉사(封事) 3조씩을 올려 득실(得失)을 극언(極言)토록 조서(詔書)를 내렸다.
❏ 삼조[三俎] 삼조는 돼지[豕]·어물[魚]·포[腊]를 가리키는데 모두 제수(祭需)이다
❏ 삼조[三組] 삼조는 세 개의 인끈으로서, 즉 세 가지 직무를 겸대한 것을 뜻한다. 한(漢) 나라 때 양복(楊僕)이 주작도위(主爵都尉)가 되고 또 누선장군(樓船將軍)이 되어 장량후(將梁侯)까지 겸대하여 세 인끈을 한꺼번에 차고서 향리에 과시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삼조[三朝] 세(歲), 월(月), 일(日)의 시작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를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차로[三叉路]~삼창[三蒼]~삼책[三策] (0) | 2016.01.12 |
---|---|
삼지[三池]~삼진[三秦]~삼진록[三秦錄] (0) | 2016.01.12 |
삼주[三住]~삼주수[三珠樹]~삼중제실동가회[三重緹室動葭灰] (0) | 2016.01.12 |
삼존달[三尊達]~삼종지도[三從之道]~삼종지의[三從之義] (0) | 2016.01.11 |
삼조보서[三鳥報書]~삼조지[三條止]~삼족오[三足烏] (0) | 2016.01.11 |
삼전정천산[三箭定天山]~삼절굉[三折肱]~삼접[三接] (0) | 2016.01.11 |
삼재[三才]~삼적사적금포만[三摘四摘今抱蔓]~삼전[三箭] (0) | 2016.01.11 |
삼잔[三孱]~삼장[三章]~삼장사[三壯士] (0) | 2016.01.08 |
삼인검[三寅劍]~삼자각모외[三子各慕外]~삼자부[三字符] (0) | 2016.01.08 |
삼이용[三耳湧]~삼익우[三益友]~삼인[三仁]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