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삼소[三蘇] 북송(北宋) 시대 문장가였던 소순(蘇洵)과 그의 아들인 소식(蘇軾)·소철(蘇轍) 형제를 합칭한 말이다. 모두 글을 잘 하였으므로 세상에서 삼소(三蘇)라 하였다.
❏ 삼소[三笑] 진(晉)의 고승(高僧) 혜원(慧遠)이 도연명(陶淵明)과 육수정(陸修靜)을 전송할 때 호계(虎溪)를 지나온 줄도 모르고 마음을 논하면서 서로 크게 웃었다는 고사이다. 지금의 삼소도(三笑圖)가 여기서 기인된 것이다.
❏ 삼소과계동[三笑過溪東] 옛날 혜원법사(慧遠法師)가 손님을 전송하면서 호계(虎溪)를 넘은 일이 없었는데, 언젠가 도연명(陶淵明)과 육수정(陸修靜)이 찾아왔을 때 그들을 전별하면서는 서로 의기가 상합하여 얘기하다가 자기도 모르게 호계를 지나치고는 세 사람이 껄껄 웃었다고 한다. <廬山記>
❏ 삼소도[三笑圖] 혜원(慧遠)이 여산(驪山) 동림사(東林寺)에 있었는데, 도연명(陶淵明)과 육수정(陸修靜)이 찾아 왔다가 돌아갈 때, 혜원이 전송하매, 평일에는 손님 전송에 호계(虎溪)를 넘지 않았는데 이 날은 세 사람이 이야기하다가 어느덧 호계를 지나왔으므로 모두 웃었다. 후세의 사람들이 삼소도(三笑圖)를 그려서 전하였다.
❏ 삼수[三手] 사람을 해치는 세 가지 방법으로 평지수(平地手)·대급수(大急手)·소급수(小急手)를 가리키는 말이다. 평지수는 돈으로 내시(內侍)들과 교결하여 죄에 얽어 넣어 조정에서 내쫓는 책임을 맡은 사람이고, 대급수는 궁중(宮中)에 은밀히 숨어 들어가서 직접 임금을 시해하는 자객(刺客)을 가리키는 말이고, 소급수는 독약(毒藥)으로 임금을 시해하는 일을 맡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아[三雅]~삼악삼토[三握三吐]~삼야[三耶] (0) | 2016.01.06 |
---|---|
삼십만수백[三十萬樹白]~삼십육계[三十六計]~삼십육린[三十六鱗] (0) | 2016.01.06 |
삼시충[三尸蟲]~삼시기해[三豕己亥]~삼신[參辰] (0) | 2016.01.06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삼순구식[三旬九食]~삼승법[三乘法] (0) | 2016.01.05 |
삼수지[三秀芝]~삼수평요전[三遂平妖傳]~삼숙[三宿] (0) | 2016.01.05 |
삼성[三聖]~삼성오신[三省吾身]~삼세의[三世醫] (0) | 2016.01.05 |
삼성[參星]~삼성[三省]~삼성[三性] (0) | 2016.01.05 |
삼생유행[三生有幸]~삼선[三嬗]~삼선설[三禪舌] (0) | 2016.01.04 |
삼생[三生]~삼생석[三生石]~삼생숙계[三生夙契] (0) | 2016.01.04 |
삼상구인난[三湘舊紉蘭]~삼상서[三上書]~삼색리[三色李]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