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림[詞林] 문인들의 일을 기록한 것으로 사림기사(詞林紀事) 따위를 가리킨다.

사립고주[蓑笠孤舟] “외로운 배의 도롱이 갓 쓴 늙은 이 홀로 찬 강 눈에 낚시질하네[孤舟簑笠翁 獨釣寒江雪]”라는 시가 있다.

사마[司馬] 관직 이름으로 시대에 따라 그 맡은 일이 달랐다. 본래 군사(軍師)나 군수용품(軍需用品) 등을 관장했는데, 때로는 史官(사관) 일까지도 겸했다.

사마[絲麻] 사마는 명주와 삼베 등 귀중한 것을 뜻한다.

사마[司馬] 서주(西周) 때 설치한 관직의 이름으로 하관(夏官)인 대사마(大司馬)에 속한 관리. 군사마(軍司馬), 여사마(輿司馬), 행사마(行司馬) 등이 있어 군정과 군역을 담당했다. 춘추, 전국시대에 이르자 제후국들도 그 제도를 따라 사마라는 관직을 두게 되었다. 춘추 때 당진(唐晋)에서 군사조직을 삼군(三軍)으로 할 때 매 군마다 사마라는 직을 두어 그 직위는 대장(大將)과 부장(副將)에 이서 세 번째로 하였다. 그 임무는 군사의 일에 대한 참모 역할과 군법의 시행을 관장하였다.

사마[司馬] 한 나라의 문장가인 사마상여(司馬相如)를 가리킨다. 한 무제(漢武帝) 때의 사부가(詞賦家)로 항상 소갈병을 앓았는데, 아름다운 문장으로 무제의 총애를 받아 중랑장(中郞將)이 되었다.

사마[駟馬] 한 대의 수레를 메고 끄는 네 필의 말. 또는 네 필의 말이 끌도록 된 마차이다.

사마[司馬] 한나라의 사마천(司馬遷)은 그가 지은 사기(史記)로 하여 천고의 대문장이라고 지목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