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사륙[四六] 변문(騈文) 또는 변체(騈軆)라고도 한다. 글귀마다 4자 또는 6자로 문장을 이루는 것으로, 안짝과 바깥짝이 서로 대(對)가 되고 또 평측(平仄)으로 그 성운(聲韻)을 고르는 문체이다. 이 문체는 남북조(南北朝) 시대에 처음 성립되고, 당(唐)의 말기에 와서 사륙(四六)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 사륙[四六] 사륙문(四六文)을 말한다. 육조(六朝)와 당(唐) 나라에서 유행하던 문체인데, 네 글자와 여섯 글자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법(對句法)을 쓰며, 압운(押韻)이 많은 변려문(騈儷文)이다.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이라고도 한다. <類選 卷十下 詩文篇 論文門>
❏ 사륜[絲綸] 사륜은 임금의 조서(詔書)를 뜻하는 말로, 예기(禮記) 치의(緇衣)의 “왕의 말은 처음엔 실오라기 같다가도 일단 나오면 굵은 명주실처럼 되고, 왕의 말은 처음엔 굵은 명주실 같다가도 일단 나오면 밧줄과 같이 된다.[王言如絲 其出如綸 王言如綸 其出如綍]”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 사리[闍梨] 범어(梵語)로 아사리(阿闍梨)의 약칭인데, 불자(佛子)들의 사범이 되는 큰스님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 사리[賜履] 군주가 하사하는 봉지(封地)로, 방백(方伯)에 임명된 것을 말한다.
❏ 사리부재[詞俚不載] 속된 거리의 노래는 책에 싣지 않는 것을 말한다.
❏ 사리사복[私利私腹] 사사로운 이익으로 배를 채움을 이른다.
❏ 사리사욕[私利私慾] 사사로운 이익과 사사로운 욕심이라는 뜻으로, 공리(公利)를 버리고 자기 일신의 이익을 탐하는 행위를 말한다.
❏ 사리자[舍利子] 부처의 제자 가운데 지혜(智慧) 제일(第一)인 사리불(舍利佛)을 말하는데, 맨 처음에는 외도(外道)인 사연(沙然)을 스승으로 섬기다가, 뒤에 석존(釋尊)에게 귀의하자 석가(釋迦)의 교단 가운데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주[司馬柱]~사마참석[司馬鑱石]~사마천[司馬遷] (0) | 2015.11.26 |
---|---|
사마상객유[司馬嘗客遊]~사마안거[駟馬安車]~사마자미[司馬子微] (0) | 2015.11.26 |
사마문성봉선기[司馬文成封禪起]~사마문왕[司馬文王]~사마사[司馬師] (0) | 2015.11.26 |
사마가사벽[司馬家四壁]~사마난추[駟馬難追]~사마독[司馬督] (0) | 2015.11.25 |
사림[詞林]~사마[司馬]~사마[駟馬] (0) | 2015.11.25 |
사롱호구시[紗籠護舊詩]~사룡[士龍]~사루[謝樓] (0) | 2015.11.25 |
사롱수불[紗籠袖拂]~사롱유구재[紗籠有舊裁]~사롱정호[紗籠正護] (0) | 2015.11.25 |
사록[沙麓]~사록[祠祿]~사록경[沙麓慶] (0) | 2015.11.24 |
사령[四靈]~사례[司禮]~사로[四老] (0) | 2015.11.24 |
사라밀장[沙羅密藏]~사량침주[捨糧沈舟]~사력[社櫟]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