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분군망국총부여[奔軍亡國總不與] 공자가 확상에서 활쏘기를 할 때 자로(子路)를 시켜서 고하기를 패전한 장수나 나라를 망친 대부, 붙어서 남의 후사가 된 자는 들어오지 말고, 그 밖의 사람은 모두 들어오라.”라고 하였다. <禮記 射義>

분기충천[憤氣沖天] 분한 기운이 하늘에 솟구치듯 대단하다. 몹시 분하다. 분기충천(忿氣沖天)

분대[分臺] 분견대신(分遣臺臣)의 약칭이다. 수령(守令)이나 관리들의 탐포(貪暴)와 민생(民生)의 질고(疾苦)를 규찰(糾察)하기 위하여 파견된 사헌부(司憲府)의 관리이다. 이때 파견되는 감찰(監察장령(掌令지평(持平) 등 일정치 않다.

분대[粉黛] 분묵(粉墨)과 같은 뜻으로 쓴 것이다.

분대[粉黛] 얼굴에 바르는 흰 분과 눈썹에 그리는 검은 먹으로 부녀자들의 화장품이다. 여기에서는 미녀를 가리킨다.

분락[汾樂] 분수(汾水)의 즐거움. 한 무제(漢武帝)가 분수(汾水)의 뱃놀이에서 추풍사(秋風辭)를 지었다.

분모[分茅] 띠를 나누어 줌, 곧 큰 공신의 봉함을 받는 일. 큰 공신을 봉할 때 받는 사람이 띠[]에다 대사(大社)의 흙을 싸가지고 받았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분모토[分茅土] 제후(諸侯)의 신분이라는 뜻이다. 옛날 천자가 제후를 봉할 적에 그 지방의 알맞는 색깔의 흙을 흰 띠에 싸서 나누어주면, 제후는 이 흙을 받아 사직단(社稷壇)을 만든 데서 나온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