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부견[苻堅] 전진(前秦)의 3대 임금. 이름은 문옥(文玉), 자는 영고(永固). 시호(諡號)는 세조(世祖). 저족(氐族) 출신. 2대 임금을 시해하고 즉위한 후 농경(農耕)을 장려하고 법제(法制)를 정비·확립하는 등 내치(內治)에 힘썼다. 376년 화북(華北; 황하 중·하류 지방)을 평정하고 전진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다. 국력이 신장되자 천하 통일의 야망을 품고 383년 동진을 쳤으나 비수의 싸움에서 대패한다. 나라가 분열된 가운데 385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부견편[符堅鞭] 부견(符堅)은 전진(前秦)의 임금이다. 대거(大擧)하여 동진(東晉)에 침구(侵寇)할 때에 큰 소리 쳐 말하기를 “나의 숱한 군사로 채찍만을 강에 던져도 족히 흐르는 강물을 끊으리라.”라고 하였다.
❏ 부고발계[婦姑勃磎]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방안에 공간이 없으면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장소를 서로 다투어 반목한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부곡[部曲] 사신을 수행해서 간 군사(軍士)를 말한다.
❏ 부공헌납[富公獻納] 부공은 송나라 때의 명신(名臣)인 부필(富弼)로, 부필이 거란(契丹)에 사신으로 가서 헌(獻) 자와 납(納) 자를 쓰는 일을 가지고 거란의 임금과 다툰 일을 말한다.
❏ 부과침리[浮瓜沈李] 여름철의 우아한 노닒을 이른 말이다. 위 문제(魏文帝)가 오질(吳質)에게 준 글에 “단 오이를 맑은 샘에 띄우고, 붉은 오얏을 찬물에 담근다.[浮甘瓜於淸泉 沈朱李於寒水]”라고 하였다.
❏ 부곽전[負郭田] 성(城)을 등지고 있는 전지(田地)를 이른다. 전국 시대 때의 소진(蘇秦)은 집이 가난하여 고향을 떠나 육국(六國)의 왕을 유세(遊說)하다가 육국의 정승이 되었다. 고향에 다니러 와서 탄식하기를 “내가 부곽전(負郭田) 수경(數頃)만 있었더라면 어찌 육국 정승의 인(印)을 찰 필요가 있었겠느냐.”라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부림[傅霖]~부미거위[扶微去危] (0) | 2015.10.16 |
---|---|
부당책[斧撞責]~부덕사명[婦德四名]~부령[腐令] (0) | 2015.10.16 |
부기미[附驥尾]~부남난취[浮嵐暖翠]~부노피은영[負弩被恩榮] (0) | 2015.10.15 |
부귀화[富貴花]~부규비간[剖竅比干]~부금[覆錦] (0) | 2015.10.15 |
부괴[桴蕢]~부구공[浮丘公]~부굴[富窟] (0) | 2015.10.15 |
부가상자행[附葭常自幸]~부간부담[附肝附膽]~부개자[傅介子] (0) | 2015.10.15 |
봉희[封豨]~부가[浮家]~부가대[不可帶] (0) | 2015.10.14 |
봉황비천인[鳳凰飛千仞]~봉황함서[鳳凰銜書]~봉후골[封侯骨] (0) | 2015.10.14 |
봉황대[鳳凰臺]~봉황령[鳳凰翎]~봉황명고강[鳳凰鳴高岡] (0) | 2015.10.14 |
봉호[蓬壺]~봉호몰인[蓬蒿沒人]~봉화여산하[烽火驪山下]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