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복성동[福城東] 화엄경(華嚴經)에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선지식(善知識)을 찾아 두루 다니다가 복성 동쪽에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을 만났다.
❏ 복성서[復性書] 당(唐)나라 이고(李翶)가 지은 글로서 총 3편인데, 내용은 대략, ‘사람의 성(性)은 착하지만 칠정(七情)이 착한 성품을 가리게 된다. 그러므로 정(情)을 이기면 본래의 성으로 회복할 수 있다.’는 것들이다.
❏ 복세복년[卜世卜年] 점으로 나라의 양위를 예측한 운수이다. 이 말은 좌전(左傳) 선공삼년(宣公三年)에 나온다.
❏ 복소무완란[覆巢無完卵] 후한(後漢) 때 공융(孔融)에게 9세와 8세의 두 아이가 있었는데, 공융이 조조(曹操)로부터 체포되어 갈 적에 사자(使者)에게 말하기를 “나 혼자만 죄를 받기 바란다. 내 두 아이는 면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자, 그 아이가 여쭙기를 “아버지께서는 엎어진 새집 아래 완전한 새알이 있는 것을 보셨습니까?”라 하였는데, 과연 그들도 체포되어 화를 당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言語>
❏ 복소완란[覆巢完卵] 멸족(滅族)의 화를 당한 가운데에서도 어린 자손 하나만은 다행히 살아남았다는 말이다. 한(漢) 나라 공융(孔融)이 사형을 당할 때 8세와 9세 된 두 아들의 목숨만은 살려 주기를 원했는데, 이때 두 아들이 “둥지가 깨질 때 알이 무사했던 적이 있었습니까?[大人豈見覆巢之下 復有完卵乎]”라고 말했던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言語>
❏ 복소완아[覆巢完兒] 아버지는 화를 당했으나 자식은 온전함을 비유한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주[卜晝]~복지[鵩止]~복지곤괘[復之坤卦] (0) | 2015.10.06 |
---|---|
복장부[覆醬瓿]~복재적선화재적악[福在積善禍在積惡]~복조비[鵩鳥飛] (0) | 2015.10.05 |
복자[覆刺]~복자구서[覆刺具書]~복자일금[宓子一琴] (0) | 2015.10.05 |
복신[茯神]~복양초세[濮陽超世]~복유오거서[腹有五車書] (0) | 2015.10.05 |
복송생[腹松生]~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복식[伏軾] (0) | 2015.10.05 |
복상생송[腹上生松]~복상승진[鵩上承塵]~복성[福星] (0) | 2015.10.02 |
복삼임[腹三壬]~복상비[卜商肥]~복상상간[濮上桑間] (0) | 2015.10.02 |
복비[宓妃]~복비죄[服誹罪]~복사[鵩舍] (0) | 2015.10.02 |
복룡[伏龍]~복리진편[腹裡陳編]~복번운우[覆翻雲雨] (0) | 2015.10.02 |
복력사천리[伏櫪思千里]~복렵지재[卜獵之載]~복례위인유극기[復禮爲仁由克己] (0) | 201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