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복삼임[腹三壬] 귀상을 말한다. 위지(魏志) 관로전(管輅傳)에 “내가 ‘이마 위에 나온 뼈가 없고 배에도 삼임(三壬)이 없으니 장수하지 못할 징조이다.’라고 했다.”라 하였다.
❏ 복상맹[卜商盲] 복상은 공자의 제자로 자가 자하(子夏)인데, 일찍이 아들을 잃고 울다가 실명(失明)을 하였다 한다.
❏ 복상비[卜商肥] 복상은 공자의 제자인 자하(子夏)의 성명이다. 자하가 일찍이 증자(曾子)를 만나 보았는데, 자하가 한번은 수척했다가 한번은 살쪘으므로, 증자가 그 까닭을 물으니, 자하가 대답하기를 “나와서는 부귀(富貴)의 즐거움을 보고서 그것이 하고 싶고, 들어가서는 선왕(先王)의 도를 보고 또 그것을 좋아하니, 이 두 가지가 마음속에서 싸우므로 몸이 수척해지고, 끝내는 선왕의 도가 이겼으므로 살찐 것이다.”라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淮南子 精神訓>
❏ 복상비척[卜商肥瘠] 복상은 자하(子夏)인데, 자신의 마음을 자제하는 것을 말한다. 한비자(韓非子) 유로(喩老)에 “자하가 증자를 만났는데, 증자가 ‘어찌 그리 살쪘는가?’하니, 대답하기를 ‘싸워서 이겼기 때문이다.’하므로, 증자가 ‘무슨 뜻이냐?’라 하니, 답하기를 ‘내 마음 속에 선왕(先王)의 의(義)와 부귀의 즐거움이 서로 싸우고 있었으므로 말랐었는데, 이제 선왕의 의가 이겼기 때문에 살쪘다.’라고 했다.”라 하였다.
❏ 복상상간[濮上桑間] 망국(亡國)의 음악으로, 음란한 음악을 말한다. 상간은 지명(地名)이다. <禮記 樂器>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자[覆刺]~복자구서[覆刺具書]~복자일금[宓子一琴] (0) | 2015.10.05 |
---|---|
복신[茯神]~복양초세[濮陽超世]~복유오거서[腹有五車書] (0) | 2015.10.05 |
복송생[腹松生]~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복식[伏軾] (0) | 2015.10.05 |
복성동[福城東]~복소무완란[覆巢無完卵]~복소완란[覆巢完卵] (0) | 2015.10.05 |
복상생송[腹上生松]~복상승진[鵩上承塵]~복성[福星] (0) | 2015.10.02 |
복비[宓妃]~복비죄[服誹罪]~복사[鵩舍] (0) | 2015.10.02 |
복룡[伏龍]~복리진편[腹裡陳編]~복번운우[覆翻雲雨] (0) | 2015.10.02 |
복력사천리[伏櫪思千里]~복렵지재[卜獵之載]~복례위인유극기[復禮爲仁由克己] (0) | 2015.10.02 |
복랍[伏臘]~복래일[鵩來日]~복력기[伏櫪驥] (0) | 2015.10.01 |
복과재생[福過災生]~복금와리[宓琴臥理]~복납[伏臘] (0) | 201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