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보건[補蹇] 서로 의지함을 말한다. 공공은 공공거허(蛩蛩巨虛)라는 잘 달리는 짐승이고 궐()은 앞발은 쥐의 발 같고 뒷발은 토끼의 다리와 같아서 잘 달리지 못하므로 공공이 늘 궐을 위해 먹이를 구해주고 급한 일이 있으면 업고 달아난다고 한다. <淮南子 道應訓>

보경원[輔慶源] 경원은 주자(朱子)의 문인인 보광(輔廣)의 본관(本貫)이다. 자는 한경(漢卿), 호는 잠암(潛庵)이다.

보곤[補袞] 곤직(袞職)은 임금의 직책으로 임금의 결점을 바로잡아 나간다는 뜻이다. 시경(詩經) 대아 증민(烝民)곤직에 궐실(闕失)이 있으면 중산보(仲山甫)가 메꾸어 나간다.”라고 하였다.

보곤견거[補袞牽裾] 보곤은 임금의 과실을 바로잡는 일이고, 견거는 임금의 부당한 처사에 대하여 옷소매를 끌어당기며 직간(直諫)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광[普光] 부처가 보광명장(普光明藏)에서 원각경(圓覺經)을 설하였다. 보광명은 부처의 덕이 두루 밝다는 뜻이다.

보광[葆光]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부어도 가득차지 않고 떠내도 다하지 않아서 그 소유래를 알 수 없는 것을 빛을 감추는 것[葆光]’이라고 한다.”라 하였다.

보광지검[步光之剑] 월나라 산의 명검을 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