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관중규표[管中窺豹] 대롱 구멍으로 표범을 보면 표범의 털 무늬의 전체를 보지 못하고 겨우 그 일부분의 무늬 밖에 보지 못하므로, 전하여 소견의 좁음을 비유한다.

  • 관중유[灌仲孺] 중유는 관부(灌夫)의 자(字)이다.

  • 관중증사제공구[管仲曾射齊公鉤] 제(齊)의 관중(管仲)이 처음에는 공자 규(公子糾)를 섬기면서 환공(桓公)과 싸워 환공의 혁대고리를 쏘아맞춘 적이 있었는데, 뒤에 포숙아(鮑叔牙)의 추천으로 환공을 도와 패업을 이루었다. <史記 卷62>

  • 관중지천[管中之天] 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는 말. 곧 소견이 좁은 것을 이른다.

  • 관진[觀津] 한나라 때 기주자사부(冀州刺史部) 신도군(信都郡) 무읍(武邑)에 속한 고을로 지금의 하북성 무읍현 경내다.

  • 관집[鸛集] 벼슬길에 오를 길조(吉兆)라는 뜻이다. 후한서(後漢書) 양진전(楊震傳)에 “어느 날 양진의 강당(講堂) 앞에 황새가 전어(鱣魚) 3마리를 물고 날아들었는데, 도강(都講)이 말하기를 ‘전어는 경대부(卿大夫) 옷의 상징이요 셋은 삼태(三台)를 본받은 것이니, 선생님은 앞으로 높은 벼슬에 오를 것입니다.’라 했다.”고 하였다.

  • 관채유언[管蔡流言]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은 주 무왕(周武王)의 아우요, 주공(周公)의 형들로 사기(史記)에 이르되, 무왕이 붕어하고 아들 성왕(成王)이 즉위했으나 나이가 어린 탓에 주공이 섭정하니 관·채가 나라에 말을 퍼뜨리되 “공이 장차 어린애에게 이롭지 못하리라[管蔡流言放國曰 公將不利於孺子]”라고 해서 주공이 황공하여 동도로 피했더니, 뒤에 성왕이 주공을 맞아 돌아오매 그들이 모반하였다. 왕이 주공에게 토벌을 명하여 그들을 잡아 죽였다. <史記 管蔡世家>

  • 관추명성장[鸛鶖鳴聲長] 비가 올 것 같은 분위기를 묘사한 것으로 길 떠나는 고달픔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다. 장차 비가 오려 하면 물을 좋아하는 왜가리가 좋아서 운다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詩經 豳風 東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