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공상유신[空桑有莘] 공상은 은(殷) 나라 탕(湯) 임금의 재상인 이윤(伊尹)이 태어난 곳으로, 이윤이 유신씨(有莘氏)의 들판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가 세 차례에 걸친 탕의 초빙에 마침내 응하였다.
-
공색[空色] 불교의 말로 색(色)은 곧 형체가 있는 만물을 총칭한 것이고, 공(空)은 곧 이 형체 있는 만물 또한 인연(因緣)을 따라 생긴 것이요, 본래 실유(實有)가 아니기 때문에 공이라 한다는 것이다. 반야심경(般若心經)에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으니,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다[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라고 하였다.
-
공생[工省] 힘이 적게 들다.
-
공서산하[功誓山河] 한(漢) 나라에서 처음 천하를 통일하여 공신(功臣)을 봉(封)할 때에 맹세한 말이다. “황하(黃河)가 띠[帶]만큼 되고, 태산이 숫돌[礪]만큼 될 때까지 나라를 길이 보전하자.”라고 하였다.
-
공서양속[公序良俗] 공공의 질서와 선량한 풍속을 말한다.
-
공석불난[孔席不煖] 공자와 묵자 두 분은 세상을 구제하기 위하여 돌아다니기 때문에 앉은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고, 구들에 그을음이 타서 검게 될 겨를이 없었다는 것이다.
-
공선계[公膳雞] 공선은 대궐에서 대신에게 공적으로 먹이는 식사를 말하는데, 좌전(左傳) 양공(襄公) 28년 조(條)에 “공선은 매일 닭이 두 마리씩이다[公膳日雙雞]”라 하였다.
-
공성[空性] 진여(眞如)의 이명(異名). 진여는 우리의 이지(理智)로는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일체가 모두 실체와 자성이 없다는 공(空)한 이치를 체득할 때에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공에 의하여 나타나는 실성(實性)이므로 공성이라 하는 것이요 진여 자체가 공이라는 것은 아니다.
-
공성계사[孔聖繫辭] 공자는 주역(周易)을 좋아하여 계사(繫辭)의 상·하, 문언전(文言傳) 등 십익(十翼)을 지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야장[公冶長]~공언무시[空言無施]~공영달[孔穎達] (0) | 2014.12.18 |
---|---|
공신삼걸[功臣三傑]~공심안마저일오[空心按摩佇一悟]~공야유설[公冶縲紲] (0) | 2014.12.17 |
공숙좌[公叔座]~공승[龔勝]~공식례[公食禮] (0) | 2014.12.17 |
공손홍[公孫弘]~공수[龔遂]~공숙[公叔] (0) | 2014.12.17 |
공소공[空所空]~공손대랑[公孫大娘]~공손지[公孫枝] (0) | 2014.12.17 |
공북해[孔北海]~공사[貢士]~공상[空桑] (0) | 2014.12.17 |
공벽유서[孔壁遺書]~공봉반[供奉班]~공북성망[拱北星芒] (0) | 2014.12.17 |
공문중[孔文仲]~공방형[孔方兄]~공백지처[共伯之妻] (0) | 2014.12.17 |
공무도협거[公無度峽去]~공문[空門]~공문무우[孔門舞雩] (0) | 2014.12.17 |
공명수죽백[功名垂竹帛]~공명쌍표[孔明雙表]~공명정대[公明正大] (0) | 201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