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반응형
방안 가득 지나는 맑은 바람과
앉은자리 환히 비추는 달에
둘러앉은 모든 것이 본모습 드러내고,
한 줄기로 흐르는 계곡의 물과
하나로 산을 감싸는 구름에
이르는 걸음마다 오묘한 도리를 보네.
滿室淸風滿幾月, 坐中物物見天心.
만실청풍만궤월, 좌중물물견천심.
一溪流水一山雲, 行處時時觀妙道.
일계유수일산운, 행처시시관묘도.
<채근담菜根譚/건륭본乾隆本/한적閒適>
- 청풍[淸風] 부드럽고 맑게 부는 바람. 맑고 시원한 바람. 두보(杜甫)의 시 사송(四松)에 “맑은 바람을 나를 위해 일으키니, 낯을 스치는 게 엷은 이슬 같구나.[淸風爲我起, 灑面若微霜.]”라고 하였다.
- 물물[物物] 각종물품(各種物品). 각양사물(各樣事物).
- 천심[天心] 하늘의 뜻. 하늘의 본 마음. 대자연의 진면목. 타고난 마음씨. 천의(天意). 본성(本性), 본심(本心). 서경(書經) 함유일덕(咸有一德)에 “이윤(伊尹)이 몸소 탕왕과 더불어 모두 일덕을 소유하여 능히 하늘의 마음에 합당하여 하늘의 밝은 명을 받았다.[惟尹 躬暨湯 咸有一徳 克享天心 受天明命]”라고 하였다. 또, 강절(康節) 소옹(邵雍)의 복괘시(復卦詩)에 “동짓날 자정에, 하늘의 마음은 변함없네. 하나의 양이 움직임을 시작할 때, 만물은 아직 생기기 전이라네.[冬至子之半, 天心無改移. 一陽初動處, 萬物未生時.]”라고 하였다. 또, 원(元)나라 장우(張宇)의 시 감회(感懷)에 “세상살이 양장처럼 험난하기 그지없고, 천심은 선비에게 드러내기 싫어하네.[世路羊腸劇險艱, 天心應厭著儒冠.]”하고 하였다. 유관(儒冠)은 선비를 가리킨다.
- 행처[行處] 가는 곳곳. 도처(到處). 수처(隨處). 두보(杜甫)의 시(詩) 곡강(曲江)에 “술빚은 보통 가는 곳마다 있거니와, 인생의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다네.[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라고 하였고, 위장(韋莊)의 시 탄락화(歎落花) “서시(西施)는 떠날 때는 소엽을 남기고, 사아가 가는 곳엔 금비녀 떨어지네.[西子去時遺笑靨, 謝娥行處落金鈿.]”라고 하였다. 소엽(笑靨)은 웃을 때 양쪽 뺨에 생기는 보조개로, 고대 부녀자들의 뺨 위에 붙이는 장식품이기도 하다. 사아(謝娥)는 사가(謝家)의 미녀(美女)이다.
- 시시[時時] 지나가는 시각시각. 그때그때. 때때로. 가끔. 계절. 수시로. 상상(常常).
- 묘도[妙道] 신묘(神妙)한 도(道). 정묘(精妙)한 도리(道理). 우주 자연의 오묘(奧妙)한 도. 심오(深奧)하고 미묘(微妙)한 도. 지도(至道). 참고로, 송(宋)나라 육유(陸遊)의 시 감회(感懷)에 “오묘한 도는 본시 저절로 얻어지고, 지극한 말은 처음부터 번거롭지 않다.[妙道本自得, 至言初不煩.]”라고 하였다. 불번(不煩)은 거슬리거나 번거롭지 않음을 이른다.
- 도리[道理]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 할 바른 길. 사물(事物)의 정당한 이치(理致). 방도(方道)와 사리(事理). 모든 현상에 통하는 법칙. 모든 것에 두루 통하는 진리. 진리와 결합된 이론이나 증명. 타당한 이치.
【譯文】 物見天心 時觀妙道
充滿居室淸涼的風灑滿幾案的月光, 就坐其中各種物件顯現上天心意 ; 一泓澗溪流動的水盈滿山穀的浮雲, 行進之處時時刻刻見到精妙道理.
【注解】 幾 : (名)本義古人席地而坐時有靠背的坐具. 「說文」 “幾, 坐所以憑也.” 後專指有光滑平面·由腿或其它支撐物固定起來的小桌子.
반응형
'마음[心法]산책 > 청한[淸閑]과 초탈[超脫]'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것은 먼 데 있지 않고, 멋은 많은 데 있지 않다 <채근담菜根譚> (0) | 2022.11.17 |
---|---|
마음은 대나무처럼 얼굴빛은 소나무처럼 <채근담/취고당검소> (0) | 2022.11.17 |
자연의 비단자리 깔고 앉아 천상의 영롱한 정수를 달이네 <채근담> (0) | 2022.11.17 |
매이지 않는 태도와 한가로운 마음, 청아한 풍채와 당당한 품격 <채근담 / 증광현문> (0) | 2022.11.17 |
기묘하고 무궁한 천지의 조화 <채근담菜根譚> (0) | 2022.11.17 |
비워진 공간이 절로 빛을 발하네 <채근담菜根譚/한적閒適> (0) | 2022.11.16 |
送童子下山송동자하산 / 산을 내려가는 동자승을 보내며 / 金地藏김지장 (0) | 2020.08.11 |
재능이 많은 것보다 재능을 없애는 것이 낫다 <채근담> (0) | 2015.10.28 |
도의의 길 위에는 인정의 변화가 없다 <취고당검소> (0) | 2015.10.27 |
얽매이지 마라 <채근담> (0) | 201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