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제도[帝都] 천자가 있는 곳. 즉 서울을 말한다.
❏ 제동씨지언[齊東氏之言] 맹자(孟子) 만장상(萬章 上)의 기록에 의하면, 맹자가 제자 함구몽(咸丘蒙)의 상고시대 이야기에 대한 질문에 답할 때 말하길 “이것은 군자의 말이 아니고 제나라 동쪽 야인의 말이다.[此非君子之言, 齊東野人之語也]”라고 하였다. 후에는 고사나 소설을 제동야어[齊東野語]로 비유했기 때문에 경멸의 뜻이 포함되어 있다.
❏ 제동야어[齊東野語] 스스로 쓸데없는 이야기를 잘 한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야어는 믿을 수 없는 황당무계한 말을 이르고, 제동(齊東)은 제 나라 동쪽의 벽촌(僻村)을 가리킨 것으로, 제 나라 동쪽 벽촌 사람들의 믿을 수 없는 이야기들을 이른 말이다.
❏ 제량권애민[齊梁勸愛民] 맹자(孟子)가 일찍이 양 혜왕(梁惠王)과 제 선왕(齊宣王)에게 이 마음을 확충시켜 백성을 사랑하라는 뜻으로 설득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제량빙[齊梁聘] 그 나라 흥망성쇠와는 하등의 직접 관련이 없는 객경(客卿)의 입장을 말한다. 맹자(孟子)는 전국 시대 양 혜왕(梁惠王) 제 선왕(齊宣王)의 초빙을 받아 일정한 책임이 없는 객경 입장에서 제 나라 위 나라를 왕래하였다. <孟子 梁惠王·公孫丑>
❏ 제량조[齊梁調] 중국 남북조 시대 제(齊)·양(梁) 양조(兩朝) 사이에 유행했던 시체(詩體)로서 성정(性情)의 표현보다는 성조(聲調)와 수사학(修辭學)적인 기교가 더욱 발달하였다.
❏ 제량체[齊梁體] 남북조(南北朝) 시대 제(齊)·양(梁)양조(兩朝) 사이에 행해졌던 시체(詩體)의 하나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슬[齊瑟]~제악어문[祭鰐魚文]~제야[除夜]~제양[濟陽] (0) | 2020.09.20 |
---|---|
제석[除夕]~제석천[帝釋天]~제세일모[濟世一毛]~제수토곡[齊修土穀] (0) | 2020.09.20 |
제분[除糞]~제삼번객[第三番客]~제상[堤上]~제생문자구[諸生問字俱] (0) | 2020.09.20 |
제민왕[齊湣王]~제범[帝範]~제복이운망[題鵩而云亡]~제봉자[題鳳字] (0) | 2020.09.20 |
제력어하유[帝力於何有]~제무[齊巫]~제문막주우[齊門莫奏竽]~제물아[齊物我] (0) | 2020.09.20 |
제기[齊己]~제남생[濟南生]~제녀[齊女]~제니[薺苨]~제대운경[齊臺隕傾] (0) | 2020.09.20 |
제교객[題橋客]~제궤의혈[提潰蟻穴]~제금[製錦]~제금유자[題襟遊子] (0) | 2020.09.20 |
제결명[鵜鴂鳴]~제경공[齊景公]~제고[題糕]~제과[制科] (0) | 2020.09.20 |
제갈공명[諸葛孔明]~제갈허치구[諸葛許馳驅]~제건십습[緹巾十襲] (0) | 2020.09.19 |
정화[征和]~정화[菁華]~정회[貞悔]~제각형[蹄角瑩]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