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제기[齊己] 당(唐)의 승려(僧侶). 그는 승려이면서 서한(書翰)에 마음을 쓰고, 또 시 읊기를 좋아하여 강릉(江陵) 용흥사(龍興寺)에 있으면서 정곡(鄭谷)과 많이 창수(唱酬)를 하였으며 차[茶]에 대하여도 일가견이 있었다. <學林新編>
❏ 제남생[濟南生] 명 나라 이반룡(李攀龍)을 가리킨다. 이반룡이 산동성(山東省) 제남군(濟南郡) 역성현(歷城縣) 출신이기 때문이다.
❏ 제남생[濟南生] 제남(濟南) 출신의 명유(名儒) 복생(伏生)을 가리킨다. 한 문제(漢文帝) 때 상서(尙書)를 강의할 사람이 없자, 진(秦) 나라 때 박사(博士)를 역임한 뒤 제(齊), 노(魯) 사이에서 유생들을 가르치던 복생을 불러오게 하였는데, 당시 나이 90여 세의 노인이라서 여행을 할 수 없었으므로 조정에서 사람을 보내 그에게 배우고 오도록 했던 고사가 전한다. <漢書 卷88 儒林傳 伏生>
❏ 제남생[濟南生] 제남은 춘추시대 제(齊) 나라의 땅이름이다. 한 문제(漢文帝) 때 진시황(秦始皇)이 불태워 없애버린 경전을 복원할 당시 제남에 사는 복생(伏生)이 90여 세의 나이로 상서(尙書)를 구술(口述)하여 세상에 전하게 되었는데, 그의 생전에 그 지방의 장생(張生)과 구양생(歐陽生)에게 상서(尙書)의 학문을 전수하였다. <漢書 卷八十八 儒林傳>
❏ 제녀[齊女] 매미의 별칭이다. 제(齊) 나라 왕후가 억울하게 죽은 뒤에 매미로 변해서 궁정 앞의 나무에 올라 애달프게 울었다는 전설에서 기인하여, 후비(后妃)나 궁녀(宮女)의 비원(悲怨)을 뜻하는 시어가 되었다. <古今注 問答釋義>
❏ 제노[齊奴] 제노는 석숭(石崇)의 별명이다.
❏ 제니[薺苨] 냉이와 도라지.
❏ 제대운경[齊臺隕傾] 제 나라 과부가 자식도 없이 시집도 가지 않은 채 시어머니를 잘 모시고 있었는데, 어미의 재산을 욕심낸 시누이가 과부에게 시집을 가라고 하였다. 과부가 응하지 않자, 이에 어미를 죽이고 그 죄를 과부에게 덮어씌웠는데 과부의 원한이 하늘에 맺혀 제 경공(齊景公)의 누대에 벼락이 떨어졌다고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석[除夕]~제석천[帝釋天]~제세일모[濟世一毛]~제수토곡[齊修土穀] (0) | 2020.09.20 |
---|---|
제분[除糞]~제삼번객[第三番客]~제상[堤上]~제생문자구[諸生問字俱] (0) | 2020.09.20 |
제민왕[齊湣王]~제범[帝範]~제복이운망[題鵩而云亡]~제봉자[題鳳字] (0) | 2020.09.20 |
제력어하유[帝力於何有]~제무[齊巫]~제문막주우[齊門莫奏竽]~제물아[齊物我] (0) | 2020.09.20 |
제동야어[齊東野語]~제량권애민[齊梁勸愛民]~제량조[齊梁調] (0) | 2020.09.20 |
제교객[題橋客]~제궤의혈[提潰蟻穴]~제금[製錦]~제금유자[題襟遊子] (0) | 2020.09.20 |
제결명[鵜鴂鳴]~제경공[齊景公]~제고[題糕]~제과[制科] (0) | 2020.09.20 |
제갈공명[諸葛孔明]~제갈허치구[諸葛許馳驅]~제건십습[緹巾十襲] (0) | 2020.09.19 |
정화[征和]~정화[菁華]~정회[貞悔]~제각형[蹄角瑩] (0) | 2020.09.19 |
정호용거[鼎湖龍去]~정호화금슬[靜好和琴瑟]~정홍단[征鴻斷] (0) | 202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