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경여[李敬輿] 자는 직부(直夫), 호는 백강(白江). 24세 때 과거에 급제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흥원강 가에서 자연을 벗삼아 살았다. 왕의 미움을 사 삼수에 귀양간 일이 있다.
❏ 이경전[李慶全]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중집(仲集), 호는 석루(石樓). 1590년 증광문과에 급제,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다. 1608년 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옹립 하는 소북(小北)의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하다 강계(江界)로 유배 갔다. 광해군 즉위 후 충청도와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주청사(奏請使)로 명나라에 가서 인조의 책봉을 요청했다. 한평부원군(韓平府院君)에 진봉(進封)되고 1637년(인조 15) 삼전도(三田渡)의 비문(碑文) 작성의 명을 받았으나 병을 빙자하고 거절했다. 1640년 형조판서를 지냈다. 시문으로 어려서부터 명성이 높았다. 문집에 석루유고(石樓遺稿)가 있다.
❏ 이경전[二頃田] 한평생 먹고 살 만한 기름진 토지를 말한다. 전국 시대에 6국의 재상이 되었던 소진(蘇秦)이 “가령 내가 낙양성과 가까운 곳에 좋은 땅 두 마지기만 가지고 있었다면, 어떻게 여섯 나라 정승의 인을 꿰어 찰 수 있었겠는가.[且使我有洛陽負郭田二頃 吾豈能佩六國相印乎]”라고 말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蘇秦列傳>
❏ 이경함[李景涵] 경함은 이발(李潑)의 자(字)이다.
❏ 이계[二戒] 어버이에 대한 효도와 임금에 대한 충성을 말한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 “천하에 큰 계명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명(命)이고 하나는 의(義)이다. 자식이 어버이를 사랑하는 것이 명(命)이니, 마음속에서 잠시라도 놓을 수 없는 것이요,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이 의(義)이니, 어디를 간들 임금이 없는 곳은 없다.”라는 말이 나온다.
❏ 이계수[李季受] 이계수는 이석인(李錫仁)으로, 계수는 그의 자이다. 본관은 경주, 덕형(德馨)의 5대손이며, 현종 9년(1668)에 태어나 영조 5년(1729)에 죽었다.
❏ 이계장[李桂長] 고려(高麗)의 문신(文臣)으로 청주인(淸州人)이다. 희종(熙宗) 7년에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과거(科擧)를 관장하였다. <高麗史>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궐[伊闕]~이궤[二簋]~이귀[泥龜]~이금보[泥金報]~이금오[李金吾] (0) | 2020.08.24 |
---|---|
이국[籬菊]~이군삭거[離群索居]~이궁각도[離宮閣道]~이궁환우[移宮換羽] (0) | 2020.08.24 |
이교[二喬]~이교서[圯橋書]~이구[李覯]~이구[履龜]~이구일곡[驪駒一曲] (0) | 2020.08.24 |
이광[李廣]~이광미봉[李廣未封]~이광사[李匡師]~이괘[頤卦] (0) | 2020.08.24 |
이곡화양춘[俚曲和陽春]~이곽주[李郭舟]~이관조몽시[移官早夢尸] (0) | 2020.08.24 |
이감[離坎]~이거[離居]~이거[貳車]~이경[離經]~이경양전[二頃良田] (0) | 2020.08.23 |
이가[吏加]~이가식두로[已可識頭顱]~이간방현[夷簡妨賢] (0) | 2020.08.23 |
의혈[蟻穴]~의혈영[蟻穴榮]~의형[儀刑]~의형[劓刑]~의희[義熙] (0) | 2020.08.23 |
의주자약[倚柱自若]~의죽[義竹]~의중지인[意中之人]~의천검[倚天劒] (0) | 2020.08.23 |
의이방[薏苡謗]~의장[意匠]~의전[衣纏]~의전[蟻戰]~의제[義帝]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