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유새[楡塞] 요새지. 진(秦) 나라 장수 몽염(蒙恬)이 흉노의 지역 깊이 들어가 영토를 확장한 뒤 돌을 쌓아 성 모양을 갖추고 느릅나무를 심어 요새지를 삼자[樹楡爲塞] 흉노가 감히 범접하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漢書 韓安國傳>
❏ 유새[楡塞] 진(秦) 나라 때 몽염(蒙恬)이 흉노족을 막기 위하여 설치한 관(關)으로, 지금의 내몽고(內蒙古) 지역에 있다. 변경의 요새지를 가리킨다. 유림새(楡林塞).
❏ 유색[有色] 유색은 욕계(欲界)와 색계(色界)를 말한다.
❏ 유색청[柳色靑] 왕유(王維)의 위성곡(渭城曲)에 “위성의 아침 비가 가벼운 먼지를 적셨는데, 객사에 푸릇푸릇 버들잎이 새로웠네.[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라고 하였다.
❏ 유생[婾生] 즐겁게 살다.
❏ 유생사천녀[柳生祠天女] 유생은 당(唐) 나라 때의 문장가 유종원(柳宗元)을 이른다. 유종원이 7월 칠석일(七夕日) 밤에 마을 사람들이 천녀(天女)에게 걸교제(乞巧祭)를 지내는 것을 보고는 자신에게도 크게 졸렬한 것[大拙]이 있다 하여 걸교문(乞巧文)을 지어 제사한 데서 온 말이다. <柳河東集注 卷十八>
❏ 유생절교[劉生絶交] 금방 사귀었다가 금방 절교하는 변덕. 북제(北齊)의 유적(劉逖)이 조정(祖珽)과 교의가 긴밀하고 조정의 딸을 자기 동생 아내로 맞기까지 하였는데, 뒤에 조정이 조언심(趙彦深)등을 몰아내려 할 때 유적과 동모한 일이 제대로 안 맞자 조정은 그를 오해하여 유적을 의심하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유적이 자기 아우를 보내 이혼까지 하는데 이르렀다. <北齊書 卷四十五>
❏ 유생주상[柳生肘上] 종기가 났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조금 있다가 그 왼팔뚝에 유(柳)가 생겼다.”고 하였는데, 주소(註疏)에 ‘유(柳)는 류(瘤) 자와 음(音)이 같으므로, 혹[瘤]으로 풀이한다’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신완조[劉晨阮肇]~유신유칙[有身有則]~유신유환[有身有患]~유심경[有心磬] (0) | 2020.08.17 |
---|---|
유시[柳市]~유시[侑尸]~유식[游息]~유신[庾信]~유신경수[有莘耕叟] (0) | 2020.08.17 |
유수억종기[流水憶鍾期]~유수음[濡首飮]~유수행운[流水行雲]~유순[由旬] (0) | 2020.08.17 |
유소[流蘇]~유소장[流蘇帳]~유수곡[流水曲]~유수불부[流水不腐] (0) | 2020.08.17 |
유서차색[有書借索]~유서형용[柳絮形容]~유선군[留仙裙]~유설[柔舌] (0) | 2020.08.17 |
유사[流沙]~유사[幽事]~유삽[柳翣]~유상[流觴]~유상무상[有象無象] (0) | 2020.08.12 |
유분[黝賁]~유비수상례[孺悲受喪禮]~유빈[蕤賓]~유빈철[㽔賓鐵] (0) | 2020.08.11 |
유벽거[油壁車]~유보[乳保]~유부비[幼婦碑]~유부수[劉副守] (0) | 2020.08.10 |
유박[帷箔]~유반[洧盤]~유방[遺芳]~유방백세[流芳百世] (0) | 2020.08.07 |
유무[劉戊]~유문[留門]~유민도[流民圖] (0) |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