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유벽거[油壁車] 옛날 부인(婦人)이 타던 수레로서, 벽에 기름칠을 하여 꾸민 수레를 말한다.
❏ 유병[幽幷] 연조(燕趙)의 땅인 유주(幽州)・병주(幷州) 지역의 풍속은 기절(氣節)을 숭상하고 유협(游俠)을 장려하였다.
❏ 유병계[油餅計] 고려 인종(仁宗) 때 술승(術僧) 묘청(妙淸)은 음양도참설(陰陽圖讖說)로 민심(民心)을 현혹하여 자신이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떡을 크게 만들어서 그 속에 뜨거운 기름을 넣고 구멍을 뚫어 대동강 속에 넣었다가 기름이 차츰 물 위에 떠올라 오색이 영롱하게 되자, 이는 용(龍)이 침을 뱉는 것으로 서기(瑞氣)가 있다는 등 갖은 수단을 부려 태평한 고려를 혼란하게 한 것을 말한다. <高麗史 妙淸傳>
❏ 유보[乳保] 유소(幼少)한 아이를 말한다.
❏ 유부[楡柎] 옛날 황제(黃帝)시대의 명의(名醫).
❏ 유부[踰跗] 황제(黃帝) 때 전설적인 의원(醫員)을 말한다.
❏ 유부비[幼婦碑] 유부비는 곧 삼국지(三國志)에 나오는 ‘황견유부 외손해구(黃絹幼婦外孫虀臼)’에서 따온 말이다. 즉 조아비(曹娥碑) 가운데 이 여덟 글자가 있었다는 것인데, 이것은 바로 ‘절묘호사(絶妙好辭)’ 넉 자를 파자(破字)로 나타낸 것이라 한다.
❏ 유부비[幼婦碑] 유부의 비문. 기막히게 훌륭한 시문(詩文)을 뜻하는 말이다. 조아(曹娥)의 비(碑)에 ‘황견유부외손제구(黃絹幼婦外孫齏臼)’라는 여덟 글자가 새겨져 있었는데, 조조(曹操)를 수행하던 양수(楊修)가 ‘절묘호사(絶妙好辭)’라고 해석한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捷悟>
❏ 유부수[劉副守] 송(宋)의 명장 유기(劉錡)를 말한다. 그가 처음에 동경 부유수(東京副留守)를 지냈었다. <宋史 卷366>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소[流蘇]~유소장[流蘇帳]~유수곡[流水曲]~유수불부[流水不腐] (0) | 2020.08.17 |
---|---|
유서차색[有書借索]~유서형용[柳絮形容]~유선군[留仙裙]~유설[柔舌] (0) | 2020.08.17 |
유새[楡塞]~유색청[柳色靑]~유생절교[劉生絶交]~유생주상[柳生肘上] (0) | 2020.08.17 |
유사[流沙]~유사[幽事]~유삽[柳翣]~유상[流觴]~유상무상[有象無象] (0) | 2020.08.12 |
유분[黝賁]~유비수상례[孺悲受喪禮]~유빈[蕤賓]~유빈철[㽔賓鐵] (0) | 2020.08.11 |
유박[帷箔]~유반[洧盤]~유방[遺芳]~유방백세[流芳百世] (0) | 2020.08.07 |
유무[劉戊]~유문[留門]~유민도[流民圖] (0) | 2020.08.06 |
유막[油幕]~유말궁어[濡沫窮魚]~유매[逾邁]~유모[帷帽] (0) | 2020.08.05 |
유마[維摩]~유마병[維摩病]~유마조[猶馬曹]~유마질[維摩疾] (0) | 2020.08.04 |
유릉[幽陵]~유리[羑里]~유리복닉[留犂服匿]~유림[柳林]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