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유서무릉구[遺書茂陵求] 무릉은 한 무제(漢武帝)의 능이다.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병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여기와 살고 있어, 무제가 말하되 “상여가 병이 심하다 하니 가서 그가 저술한 글을 모두 가져오라.”고 하니, 상여의 처인 탁문군이 상여가 남긴 봉선문(封禪文)을 바쳤다.
❏ 유서재[柳絮才] 유서는 버들개지인데 진(晉)의 재상 사안(謝安)이 하루는 자녀들을 모아놓고 문장을 논하였다. 마침 눈이 내리므로 사안은 “분분히 내리는 저 눈 무엇과 비슷한가?”라고 하고 물으니 조카 낭(朗)은 “공중에 소금 뿌리는 것과 비슷하네,[散鹽空中差可擬]”라고 하자, 질녀 도온(道蘊)은 “버들개지 바람에 날린다는 표현만 못하오.[未若柳絮因風起]”라 하였다.
❏ 유서차색[有書借索] 옛날 이제옹(李濟翁)의 말에 “책을 빌리는 것이 첫 번째 어리석음이요, 책을 안 빌려 주려는 것이 두 번째 어리석음이요, 빌려 준 책을 찾으려는 것이 세 번째 어리석음이요, 빌린 책을 되돌려 주는 것이 네 번째 어리석음이다.”라고 하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藝苑雌黃>
❏ 유서형용[柳絮形容] 사안(謝安)의 가족이 일찍이 한 자리에 모였을 적에 이윽고 눈이 갑자기 내리자, 사안이 자질(子姪)들을 향해 “이것이 무엇 같으냐?”고 물으니, 사안의 종자(從子)인 사랑(謝朗)이 “공중에서 소금을 뿌린다는 형용이 약간 근사하겠습니다.[散鹽空中差可擬]”라 하므로, 사도운(謝道韞)이 말하기를 “버들개지가 바람에 날린다는 형용만 못합니다.[未若柳絮因風起]”고 하니, 사안이 크게 기뻐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六>
❏ 유선[儒仙] 신라(新羅) 말기의 유학자로서 만년에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은거했던 최치원(崔致遠)을 가리킨다. 청량산에는 최치원이 수도(修道)한 고운대(孤雲臺)와 독서대(讀書臺)가 있다.
❏ 유선[儒禪] 유교(儒敎)와 선교(禪敎)를 말한다.
❏ 유선군[留仙裙] 주름 잡힌 치마를 가리킨다.
❏ 유선진일몽[游仙眞一夢] 유선침(游仙枕)을 베고 자면 꿈속에서 신선들과 노닐 수가 있다고 한다. <開元天寶遺事 游仙枕>
❏ 유설[柔舌] 노자(老子)가 상종(商樅)의 병을 위문하러 가서, 치아가 모두 없어진 것은 강하기 때문이요, 반면에 혀가 아직도 건재한 것은 부드럽기 때문이라고 말한 고사가 전한다. <說苑 敬愼>
❏ 유성화[有聲畵] 시(詩)를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唯阿]~유아[兪兒]~유아독존[唯我獨尊]~유악[帷幄] (0) | 2020.08.17 |
---|---|
유신완조[劉晨阮肇]~유신유칙[有身有則]~유신유환[有身有患]~유심경[有心磬] (0) | 2020.08.17 |
유시[柳市]~유시[侑尸]~유식[游息]~유신[庾信]~유신경수[有莘耕叟] (0) | 2020.08.17 |
유수억종기[流水憶鍾期]~유수음[濡首飮]~유수행운[流水行雲]~유순[由旬] (0) | 2020.08.17 |
유소[流蘇]~유소장[流蘇帳]~유수곡[流水曲]~유수불부[流水不腐] (0) | 2020.08.17 |
유새[楡塞]~유색청[柳色靑]~유생절교[劉生絶交]~유생주상[柳生肘上] (0) | 2020.08.17 |
유사[流沙]~유사[幽事]~유삽[柳翣]~유상[流觴]~유상무상[有象無象] (0) | 2020.08.12 |
유분[黝賁]~유비수상례[孺悲受喪禮]~유빈[蕤賓]~유빈철[㽔賓鐵] (0) | 2020.08.11 |
유벽거[油壁車]~유보[乳保]~유부비[幼婦碑]~유부수[劉副守] (0) | 2020.08.10 |
유박[帷箔]~유반[洧盤]~유방[遺芳]~유방백세[流芳百世] (0) | 202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