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월령편[月令篇] 예기(禮記)의 한 편명인데, 농가에서 112개월에 걸쳐 그때그때 해야 할 연중행사를 적은 것으로 후세에도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등 이와 비슷한 것이 많다.

월로[月露] 시문을 짓는 것도 월로풍운(月露風雲)을 형용하는 데 불과하다는 뜻에서 온 것으로 가치없는 무용의 문자를 의미한다.

월로풍운[月露風雲] 시문(詩文)을 짓는 것이 달이슬바람구름을 형용하는 데에 불과하다는 뜻에서, 전하여 쓸데없는 문자를 비유한 말이다.

월리계향[月裏桂香] 달 속에 있다는 계수나무의 은은한 향기처럼 주위를 감싸고도는 달빛을 표현한 것이다.

월만당휴왕독서[月滿當虧枉黷筮] 백제(百濟) 의자왕(義慈王) 때에 땅에서 거북[] 한 마리를 파냈는데, 거북 등에 백제는 동월륜(同月輪)이요, 신라는 신월(新月)이다.”고 씌여 있었다. 임금이 점쟁이에게 물으니 동월륜은 만(滿)이니 즉 시들어진다.”고 풀어 임금이 노하여 점쟁이를 죽였다. <三國史>

월명[月蓂] 월명은 요() 임금 때에 나왔다는 상서로운 풀 명협(蓂莢)을 가리킨다. 초하루부터 보름까지는 하루에 한 잎씩 났다가 열엿새부터는 한 잎씩 떨어져 그믐날에 다 떨어져 버리기 때문에 달력의 대명사로 쓰이게 되었다. <竹書紀年 卷上 帝堯陶唐氏>

월무방진건장개[越巫方進建章開] 한 무제 때 백량전(柏梁殿)이 불탔는데, () 나라 무당 용지(勇之)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다시 큰 궁궐을 지어 이를 이겨내야 한다.”고 하자 건장궁을 새로 지었다고 한다. <三輔黃圖 漢宮>

월벽[越璧] 아주 좋은 구슬을 말하는데, 뛰어난 사람의 뜻으로 쓰인다.

월변횡영옥성최[月邊橫影玉成摧] 달 밝은 밤 강물에 비친 매화나무 가지의 수많은 매화를 옥무더기에 비유한 것이다.

월부[月賦] () 나라 왕찬(王粲)이 진왕(陳王) 조식(曹植)을 위해 지은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