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원반[鵷班] 조정 신하의 반열을 뜻하는 말이다. 봉황새의 일종인 원추새[鵷]는 날아갈 때에도 상하의 질서를 지킨다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 원방[元方] 동한(東漢) 진식(陳寔)의 아들 진기(陳紀)와 진심(陳諶)의 자(字)가 원방(元方)과 계방(季方)이었는데, 난형난제(難兄難弟)의 뜻으로 쓰이는 원방계방(元方季方)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형(兄)의 표현으로 통용하게 되었다. <世說新語 德行>
❏ 원방[元放] 신선전(神仙傳)에 “후한(後漢) 사람 좌자(左慈)의 자는 원방(元放)인데, 도술을 배워 육갑(六甲)에 정통하여 귀신을 부렸다. 일찍이 조조(曹操)가 오강(吳江)의 농어(鱸魚)가 먹고 싶다고 하자, 즉시 쟁반에 물을 떠놓고 낚시질하여 농어를 낚아올렸다.”라고 하였다.
❏ 원방공교안수상[元放恐敎安樹上] 원방(元放)은 좌가(左慈)의 자(字)인데, 술법이 있어서 소[牛]를 나무 가지 위에 올라가게 한 일이 있다.
❏ 원방시태구[元方侍太丘] 학덕이 훌륭한 아비와 자식을 비유한 말. 원방은 후한(後漢) 때의 진기(陳紀)의 자이고, 태구(太丘)는 진기의 아버지로서 태구 현장(太丘縣長)을 지낸 진식(陳寔)을 가리킨다. 진기의 아우인 진심(陳諶)까지 합하여 이들 세 부자(父子)는 당시에 학덕(學德)이 높기로 모두 유명하였다.
❏ 원백[元白] 원미지(元微之)와 백락천(白樂天)인데, 두 사람의 교분이 두터워서 시(詩)를 서로 주고받은 것이 매우 많다.
❏ 원백[元白] 원백은 당 나라 때의 시인 원진(元稹)과 백거이(白居易)를 말한다. 백거이가 동도(東都) 이도리(履道里)에 향산루(香山樓)를 짓고 원진 등 당시의 명사들과 함께 모여 풍류를 즐겼다. 이들은 모두 당대의 문장가로서 독특한 문체를 이루어 원백체(元白體)가 생기게 되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안[袁安]~원안와[袁安臥~원안청[阮眼靑]~원안흥미[袁安興味] (0) | 2020.05.06 |
---|---|
원습[原濕]~원습로[原隰路]~원식형주[願識荊州]~원신[圓神] (0) | 2020.05.04 |
원소방수[遠紹旁搜]~원속이[垣屬耳]~원수[洹水]~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0) | 2020.05.02 |
원사허음[遠師許飮]~원삭[元朔]~원서[爰書]~원성[元聖] (0) | 2020.05.01 |
원법사[遠法師]~원복[元服]~원비장군[猿臂將軍]~원빈애[元賓愛] (0) | 2020.04.30 |
원류[源流]~원목경침[圓木警枕]~원묘[原廟]~원문[轅門] (0) | 2020.04.28 |
원룡객례[元龍客禮]~원룡고와[元龍高臥]~원룡호기[元龍豪氣] (0) | 2020.04.27 |
원령[圓靈]~원례[元禮]~원로[鵷鷺]~원룡[元龍] (0) | 2020.04.24 |
원량[元亮]~원량오희황[元亮傲羲皇]~원량증수배독우[元亮曾羞拜督郵] (0) | 2020.04.23 |
원노산[元魯山]~원도[原道]~원란[鵷鸞]~원랑고와[袁郞高臥]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