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원령[圓靈] 하늘. 사장(謝莊)의 월부(月賦)에 “柔祇雪凝 圓靈水鏡”이라 하고 이선(李善)의 주에 ‘圓靈 天也’라 하였다.
❏ 원례[元禮] 원례는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인 이응(李膺)의 자이다. 그의 인정을 한번 받으면 용문(龍門)에 올랐다고 좋아할 만큼 높은 풍도와 명성을 떨쳤다. <後漢書 卷97>
❏ 원례객[元禮客] 고사(高士)를 방문하였음을 비유한 말. 원례는 후한 때의 고사 이응(李膺)의 자인데, 당시에 그의 접견(接見)을 받은 선비를 대단히 영광스럽게 여기어 등용문(登龍門)이라 일컬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七>
❏ 원로[鵷鷺] 원추새와 백로는 질서 있게 날므로 조관(朝官)의 항렬에 비유된다.
❏ 원로[鵷鷺] 원추새와 백로인데, 이 두 새의 의용(儀容)이 한아하여 조정에 늘어선 백관의 질서 정연함에 비유한다. 곧 조정의 관원을 가리킨다. 수서(隋書) 음악지(音樂志)에 “원로가 항렬을 이루었다.”라 하였다.
❏ 원룡[元龍] 삼국시대 위(魏) 나라 진등(陳登)의 자이다.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태수(廣陵太守)와 동성태수(東城太守)를 역임하면서 남다른 치적을 이루었다. 뜻이 원대하고 호방하여 개인적인 세상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허사(許汜)가 유비(劉備)를 만나, 원룡이 호해의 기상만 넘친 나머지 자기를 대접해 주지 않고 무시했다면서 불평하자, 유비가 “당신은 국사(國士)의 명성을 지닌 사람인 만큼 세상을 구할 생각을 해야 할 것인데, 그저 밭이나 집을 구하려고만 하는 등 취할 말이 없었으므로 원룡이 꺼린 것이다.[君求田問舍 言無可采 是元龍所諱也]”라고 대답한 고사가 전한다. <三國志 卷7 魏書 陳登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사허음[遠師許飮]~원삭[元朔]~원서[爰書]~원성[元聖] (0) | 2020.05.01 |
---|---|
원법사[遠法師]~원복[元服]~원비장군[猿臂將軍]~원빈애[元賓愛] (0) | 2020.04.30 |
원반[鵷班]~원방[元放]~원방시태구[元方侍太丘]~원백[元白] (0) | 2020.04.29 |
원류[源流]~원목경침[圓木警枕]~원묘[原廟]~원문[轅門] (0) | 2020.04.28 |
원룡객례[元龍客禮]~원룡고와[元龍高臥]~원룡호기[元龍豪氣] (0) | 2020.04.27 |
원량[元亮]~원량오희황[元亮傲羲皇]~원량증수배독우[元亮曾羞拜督郵] (0) | 2020.04.23 |
원노산[元魯山]~원도[原道]~원란[鵷鸞]~원랑고와[袁郞高臥] (0) | 2020.04.22 |
원기[圓機]~원기[鴛機]~원기[猿騎]~원길[元吉] (0) | 2020.04.21 |
원굉[袁宏]~원교근공[遠交近攻]~원구[轅駒]~원규진[元規塵] (0) | 2020.04.20 |
원공[園公]~원공[猿公]~원공당[遠公堂]~원관송채[園官送菜]~원광[圓光] (0) | 202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