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우식곡[憂息曲] 실성왕(實聖王) 원년에 내물왕(柰勿王)의 왕자 미사흔(未斯欣)을 왜국(倭國)에 볼모로 보냈고, 11년에는 또 미사흔의 형인 복호(卜好)를 고구려(高句麗)에 볼모로 보냈었다. 그러다가 눌지왕(訥祗王)이 즉위하여서는 두 아우가 보고 싶어서 변사(辯士)를 얻어서 고구려와 왜국에 가서 두 아우를 맞아오게 하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뭇 신하들이 삽량군 태수(歃良郡太守) 박제상(朴堤上)을 천거하였다. 그래서 박제상은 왕명을 받고 고구려에 들어가 이미 복호를 맞이하여 돌아온 다음, 또 바다를 건너 왜국에 이르러서는 왜왕(倭王)을 속이어 몰래 미사흔으로 하여금 본국으로 돌아오게 하였다. 그러자 왕이 대단히 기뻐하면서 육부(六部)에 명하여 멀리 나가 맞이하게 하고, 두 아우를 만남에 미쳐서는 손을 잡고 서로 울었다. 그리고는 형제들이 다 모여 주연(酒宴)을 베풀고 극도로 즐기었다. 이 때에 왕이 스스로 노래를 지어 자신의 뜻을 폈는데, 세속에서 이것을 우식곡이라 하였다.

우신행[于愼行] () 나라 학자. 자는 가원(可遠) 또는 무후(無詬). 벼슬이 예부 상서(禮部商書)태자소보(太子小保)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곡성산관시문집(穀城山館詩文集)이 있다.

우심자[牛心炙] 소 염통을 구워먹는다는 것은 진()나라 왕희지(王羲之)가 어릴 적에 말을 더듬거려 사람들이 기특하게 여기지 않았으나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주의(周顗)가 제대로 알아보고 여러 손님들이 있는 자리에서 소 염통을 구워 가장 먼저 그를 먹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진서(晉書) 왕희지전(王羲之傳)왕희지가 어려서 아둔하여 남들이 기이하게 여기지 않았다. 13세에 주의(周顗)를 찾았을 때에 주의가 기특하게 여겨 소 심장 구이로 대접했다. 당시 이 음식을 매우 중히 여겼는데 좌중의 다른 손님은 누구도 먼저 먹은 이가 없었다.”라고 하였다.

우악양망[憂樂兩忘] () 나라 소식(蘇軾)의 박박주시(薄薄酒詩)당장에 술 불러 한번 취하여, 시비와 우락을 둘 다 잊는 것만 못하리.[不如眼前一醉 是非憂樂兩都忘]”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蘇東坡集 卷十四>

 

반응형